늦어지는 조각 인선…朴당선인 ‘현미경 검증’

늦어지는 조각 인선…朴당선인 ‘현미경 검증’

입력 2013-02-03 00:00
업데이트 2013-02-03 16: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靑비서실장 내정되면 ‘합동검증팀’ 진두지휘

‘김용준 낙마’를 겪은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첫 정부 조각 인선과 관련한 ‘검증 퍼즐’을 어떻게 풀지 고심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믿었던 김용준 총리 후보자가 각종 의혹으로 자진 사퇴한 상황에서 후임 인선에서도 ‘인사 실패’가 되풀이될 경우 정권 초기 국정운영에 심대한 타격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결국 핵심은 여론과 국회인사청문회의 강도높은 검증 파고를 넘을 수 있는 ‘검증의 충실도’에 달렸다는 게 공통된 의견이다. 금명 내정될 것으로 보이는 첫 대통령 비서실장이 자체 검증팀을 꾸리고 현정부의 협조를 받아 강도높은 검증을 진두지휘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우선 비서실장 인선이 3일에도 이뤄지지 않은 것은 그만큼 첫 비서실장 역할의 중요성을 감안해 신중에 신중을 기하고 있는 게 아니겠느냐는 해석이 나온다.

인수위 내부에서는 ‘김용준 낙마’ 직후 비서실 내부건 외부건 자체 검증팀을 꾸려 후임 총리 및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검증을 진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으며, 이미 이러한 팀이 구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전에는 인사검증팀 대신 최외출 전 대선캠프 기획조정특보와 이재만 보좌관 등 박 당선인의 보좌진들이 비공식적인 검증을 진행하면서 ‘구멍’이 생겼다는 지적이 많았다.

이 때문에 이번 검증팀에는 박 당선인측 인사는 물론 정부 각 기관에서 인사검증 전문가가 파견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다만 박 당선인 측은 인사검증팀 존재나 면면이 공개될 경우, 인사청탁 등 부작용이 많을 것을 우려해 관련사실을 일절 공개하지 않고 있다.

박 당선인의 한 측근도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이런저런 방식으로 검증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면서 “그런데 그런 방식으로 한다고 공개하면 또 (대상자가) 그런데 가서 로비하고 할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이르면 4일 비서실장이 인선되면 본격적으로 ‘인선 검증팀’이 활동할 것으로 보인다. 인선검증팀의 활동은 두 가지 방향으로 전망된다.

우선 청와대의 인사검증자료를 박 당선인이 그대로 활용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청와대 인사검증자료가 검증 신뢰성이 그리 높지 않은데다 박 당선인이 선호하는 인사가 포함돼 있지 않을 가능성도 크기 때문이다.

한 측근도 “어디에서 (자료를) 받아다가 (검증)하는 것은 새로운 방식은 아니다”라고 말한 것도 청와대 인사검증자료에만 기대지 않겠다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이에 따라 박 당선인이 자신의 인재풀에서 후보군을 고른 뒤 청와대에 인사검증 협조를 요청하면 청와대가 정부 기관에 지시를 내려 검증을 진행하는 방식이 거론되고 있다.

이런 방식은 상대적으로 검증에 걸리는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박 당선인의 인재풀이 ‘노출’되는 부담이 있다는게 단점으로 지적된다. 또 ‘철통보안’을 중시하는 박 당선인으로서는 썩 달갑지 않은 방식이기도 하다. 검증 과정에서 정보가 새나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청와대의 협조를 거치지 않고 첫 비서실장을 중심으로 각 정부기관에서 파견받은 인력들을 통해 검증을 진행하는 방식이 가장 가능성이 높은 방식으로 거론된다.

김광웅 서울대 행정대학원 명예교수는 “인사검증팀을 만들고, 각 기관과 네트워킹해 검증하면 청와대에 의존하지 않고도 인사검증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를 경유한 검증보다는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지만 박 당선인의 측근인 비서실장이 주도하는 검증인 만큼, 검증에 대한 신뢰도가 더 높아질 수 있다.’박근혜 인재풀’에 대한 보안이 지켜질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박 당선인측 한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그동안에도 현 정부의 도움을 안받은 건 아니지만 이제는 검증이 더 강화될 수 밖에 없다”면서 “인력이나 자료 협조 등에서 더 도움을 받는 방향은 맞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