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 전 역대 정부 명칭은?

‘박근혜 정부’ 전 역대 정부 명칭은?

입력 2013-02-06 00:00
업데이트 2013-02-06 11: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6일 새 정부 명칭을 ‘박근혜 정부’로 정하면서 현 정부와 마찬가지로 대통령 이름을 정부 명칭으로 하는 기조가 이어지게 됐다.

역대 정권의 사례를 보면 ‘전두환 정부’, ‘노태우 정부’ 식으로 대통령 이름을 붙이는 것이 관례였다.

정부 이름에 대통령의 국정기조나 철학을 담은 ‘브랜드’ 명칭이 처음 도입된 것은 1992년 12월 제14대 대통령에 당선된 김영삼 전 대통령이 ‘문민정부’라는 이름을 쓰면서다.

김 전 대통령은 수십년간 이어져 온 군정을 끝낸다는 의미로 ‘문민(文民)’을 택했다. 군인이 아닌 일반인 출신의 대통령이 통치하는 시대를 열었다는 것이다.

여야 정권교체를 처음 이루면서 제15대 대통령에 당선된 김대중 전 대통령은 ‘국민의 정부’를 새 정부 이름으로 정했다.

새 정부의 주권이 국민에게 있다는 것을 분명히 하는 의미였다.

2002년 제16 대선에서 당선된 노무현 전 대통령도 ‘참여정부’라는 브랜드 명칭을 사용했다.

참여정부 인수위는 “국민이 국정의 주인이고 국민의 참여를 바탕으로 국정을 운영하겠다는 기본 정신을 천명하는 동시에 국민의 폭넓은 참여를 통해 개혁과 통합, 선진국으로의 도약과 지속발전을 추진하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브랜드 명칭을 더이상 사용하지 않은 때가 2007년 당선된 제17대 이명박 대통령부터다.

당시에도 새 정부의 이름을 이 대통령의 실용주의적 색채를 담아 ‘실용정부’, ‘실천정부’, ‘글로벌정부’ 등으로 하자는 아이디어가 있었지만 인수위는 “말만 번듯하게 하는 것은 이 당선인의 실용주의 철학에 오히려 어긋난다”며 ‘이명박 정부’로 새 정부의 이름을 지었다.

이번에도 다양한 브랜드 명칭 아이디어가 나왔지만 결국 ‘박근혜 정부’를 선택했다.

인수위 윤창중 대변인은 “명칭 후보군을 ‘박근혜 정부’와 ‘민생정부’, ‘국민행복정부’로 압축했다가 오늘 최종적으로 ‘박근혜 정부’를 택했다”고 말했다.

윤 대변인은 또 “같은 헌법인데 별칭을 붙이는 것이 과연 바람직한 것인가에 대해 고민을 했다”며 “우리가 볼 때 별도의 정부 명칭을 만드는 것이 헌법 정신에 비춰봤을 때 어색하고 어울리지 않는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