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핵실험 충격속 ‘3ㆍ1절 공동행사’ 추진 주목

北핵실험 충격속 ‘3ㆍ1절 공동행사’ 추진 주목

입력 2013-02-15 00:00
업데이트 2013-02-15 09: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정부 첫 시험대…난감한 통일부 “접촉 미뤄라”

북한의 제3차 핵실험 강행으로 긴장이 고조된 상황에서 3ㆍ1절 남북공동행사가 추진돼 귀추가 주목된다.

단군민족평화통일협의회는 다음달 94주년 3ㆍ1절을 맞아 개성이나 금강산에서 남북 공동행사를 추진하고 있다고 15일 밝혔다.

협의회 측은 “통일부와도 협의 중”이라면서 “오는 25일 출범하는 박근혜 정부에서 민간차원의 첫 남북 행사인 만큼 남북관계에 새로운 전환점이 될 수도 있다”고 기대를 표시했다.

북측 노동당 외곽기구인 단군민족통일협의회(회장 류미영)도 긍정적 호응을 해왔다.

북측은 1월 22일 팩스를 통해 “북남 대결상태를 해소하고 민족의 화해와 단합, 통일을 이룩하는 데 적극 이바지하는 3ㆍ1인민봉기 94돌 기념 공동행사를 위한 실무접촉을 2월 1일 개성에서 진행하자”고 화답했다.

북측은 지난 6일에도 “실무접촉을 2월 초 개성에서 진행하자는 팩스를 보낸 바 있으나 귀측 당국의 승인 여부를 알지 못한다”면서 “개성 실무 접촉에 대한 확고한 담보가 된 후 접촉 날짜를 협의, 확정하자”는 내용의 팩스를 보내왔다.

3ㆍ1절 공동행사 개최를 위한 실무접촉 날짜를 정하기 전에 남측 당국의 승인 여부에 대한 확인을 요구한 것이다.

북측은 3ㆍ1절 공동행사를 박근혜 정부의 대북정책을 가늠할 일종의 리트머스 시험지로 활용할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통일부는 북한의 제3차 핵실험 충격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난감해하고 있다. 통일부는 남측 협의회에 실무접촉을 미루라고 요구하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북한이 장거리 로켓 발사에 그쳤으면 여지가 좀 있었을 텐데…”라면서 “현 정부에서는 공동행사 승인을 내주기 쉽지 않고 새 정부 출범 후 어떻게 할지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3ㆍ1절 공동행사에 대한 승인 여부는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촉박하게 결정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인다.

새 정부가 핵실험과 연계해 민간차원의 접촉을 차단할지, 아니면 대북제재와 압박 속에서도 최소한의 ‘숨통’을 열어놓을지 주목된다.

남측 협의회 측은 정부가 실무접촉 승인을 내주지 않더라도 팩스교환 등을 통해 공동행사를 준비하면서 정부의 승인을 기다리겠다는 입장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