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측 “초안, 삭제 아니라 이관대상목록서 빠진 것”

盧측 “초안, 삭제 아니라 이관대상목록서 빠진 것”

입력 2013-10-04 00:00
업데이트 2013-10-04 1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초안 수정, 통상적 범주 벗어나지 않아”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측은 4일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초안이 참여정부 업무관리시스템인 이지원(e知園)에서 삭제된 흔적이 발견됐다는 검찰 발표에 대해 삭제한 것이 아니라 최종본이 있기 때문에 초안은 국가기록원 이관대상에서 빠진 것이라고 주장했다.

노 전 대통령의 마지막 비서관인 김경수 노무현재단 봉하사업본부장은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 “이지원으로 보고를 하면 직원 개인이 문서를 삭제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불가능하다”며 “문서를 작성하다 만 것이라든지 중복된 문서 등 기록으로서 가치가 없는 것들은 시스템 프로세스에 따라 이관대상기록물에서 목록이 빠지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최종적으로 수정한 완성본이 있으면 초안은 기록으로서의 가치가 없기 때문에 프로세스에 따라 분류가 된 뒤 이관되지 않고 완성본만 (이관대상에) 분류되는 절차를 따랐을 것”이라며 “이지원 기록물 목록에서 이관대상만 넘기고 나머지는 목록에서 삭제하는 방식으로 이관하지 않았다고 들은 것 같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전체 약 800만건 중 거의 99% 이상 이관이 되고, 기록으로서의 아무런 가치가 없는 소위 ‘쓰레기 기록’들만 미이관시켰다”고 덧붙였다.

김 본부장은 “봉하 이지원 사본에 최종본이 있다는 것은 사본을 복사하기 전에 청와대 이지원에 최종본이 등록됐었다는 얘기”라며 “사본에 있는데 왜 기록관에 없다고 하는지 우리도 이해가 안간다. 대화록 같은 중요한 기록물이라면 검찰이 2008년 이지원 원본과 봉하 이지원 사본을 비교조사했을 때 발견 됐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화록 초본에 대해선 “일부 표현이 부정확한 것이라든가, (녹음을) 풀었던 국정원은 정상회담에 의석 하지 못하다 보니 노 전 대통령 이외에 배석자들이 얘기한 부분에서 사람(대화주체)이 바뀌어 있어 그런 것들을 바로 잡았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참여정부 시절 청와대 인사수석 출신의 민주당 박남춘 의원은 MBC 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나와 “말씀하신 분들의 의도와 다르게 속기사들이 작업을 하는 경우도 있는데 그런 걸 일부 수정한다든지 토씨의 연결(교정)이라든지 이런 작업은 통상적으로 하는 것”이라며 “그 범주를 벗어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김 본부장은 음원파일 공개 문제와 관련, “검찰에서 사실규명에 필요한 건 뭐든지 다 해야 된다고 생각한다”면서도 문재인 의원 책임론 등에 대해 “새누리당이 정치적으로 악용하고 있다. 검찰조사가 마무리될 때까지 이런 식의 정치적 공방은 적절치 않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도대체 얼마나 국정운영에 자신이 없길래 궁지에 몰릴 때마다 돌아가신 전직 대통령을 (이용해) 꼼수로 빠져나가려는지 안타깝다”며 “’보이지 않는 손’이 있는지 모르겠는데, 여전히 대화록을 둘러싼 공작이 진행 중”이라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