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원진 “롯데월드 등 전국 7천여곳, 대형화재에 취약”

조원진 “롯데월드 등 전국 7천여곳, 대형화재에 취약”

입력 2014-09-09 00:00
업데이트 2014-09-09 10: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해 기준 전국에 대형화재 취약대상 시설 및 건축물이 7천여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3빌딩, 코엑스, 롯데월드 등 서울의 주요 랜드마크들도 다수 포함됐다.

9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조원진 의원실에 따르면 2014년 소방방재청이 지정한 대형화재 취약대상은 7천34개다.

소방방재청은 매년 다수 인원이 사용하고 가연성 물질을 대량으로 취급하는 대형건축물을 대상으로 특별 안전점검을 실시하는데 이중 화재관리의 문제점이 발견된 곳들을 대형화재 취약대상으로 분류한다.

시도별로는 서울이 1천290개로 가장 많았고, 경기 766개, 인천 677개, 충남 504개, 전북 488개, 경북 487개 순이었으며 이들 6개 광역단체가 전체의 60%를 차지했다.

특히 서울의 경우 63빌딩, 코엑스, 롯데월드 등 연휴 기간 방문객이 많은 대표적인 랜드마크 시설들이 다수 포함돼 있어 각별한 안전관리가 요구된다고 조 의원은 밝혔다. 이들 3개 시설은 2012년부터 3년 연속 대형화재취약대상으로 관리돼왔다.

조 의원은 “대형화재취약대상은 화재 발생 시 대형재난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데도 정작 소방방재청은 대상 지정만 하고 관리는 소홀한데다가 지자체가 하는 안전교육마저 형식적인 수준에 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올해만 벌써 고양종합터미널 화재사고로 8명, 장성요양병원 화재사고로 21명이 사망하는 등 대형화재사고가 참사로 이어지고 있다”면서 “더욱 철저한 안전감독이 이뤄지도록 관리당국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