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효율성 10년 만에 ‘최악’… 한국, 국가경쟁력 28위로 떨어져

정부 효율성 10년 만에 ‘최악’… 한국, 국가경쟁력 28위로 떨어져

황비웅 기자
황비웅 기자
입력 2019-05-28 22:52
업데이트 2019-05-29 08: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스위스 IMD 63개국 평가

경제 성과 7계단·인프라 2계단↓
기업 효율성은 무려 9계단 상승
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의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우리나라가 지난해보다 1계단 하락한 28위에 머물렀다. 기업 효율성은 오른 반면 정부 효율성이 10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영향이 컸다.

기획재정부는 2019년 IMD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우리나라가 평가 대상 63개국 중 28위를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순위가 가장 높았던 2011~2013년(22위)과 비교하면 6계단이나 미끄러졌다. 아시아·태평양 14개국 중에서는 9위, 인구 2000만명 이상 28개국 중에서는 11위였다.

평가는 ▲경제 성과 ▲정부 효율성 ▲기업 효율성 ▲인프라 등 크게 4개 분야로 나뉜다. 우리나라는 기업 효율성이 34위로 지난해(43위)보다 무려 9계단 상승했다. 반면 경제 성과는 27위로 지난해(20위)보다 7계단 떨어졌고, 정부 효율성(31위)과 인프라(20위)도 각각 2계단씩 밀렸다.

경제 성과 분야에서는 국내총생산(GDP)과 수출, 투자, 취업자 증가율 등의 둔화로 국내 경제(9→16위), 무역(35→45위), 고용(6→10위) 등이 일제히 하락했다. 그나마 GDP 규모(12위)와 교역 조건(6위)은 양호한 수준을 유지했다.

정부 효율성 분야에서는 재정 수지(16→3위)와 정부부채 증가율(45→40위) 등은 개선된 반면 국내총생산(GDP) 대비 정부부채 규모가 23위에서 27위로 떨어졌다. 제도·사회 여건 중에서는 창업 절차(2위)는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노동시장 개방성은 55위에서 61위로 사실상 최하위권으로 추락했다. 또 인프라 분야에서는 대학교육(49→55위)과 외국어능력(33→44위)의 순위가 미끄러졌다. 대신 지적재산권 보호 수준(39→37위)과 인구 1000명당 연구개발 인력(8→5위) 등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효율성 분야에서는 노동시장 부문이 2014년 이후 가장 높은 36위에 올랐다. 기업가 정신도 55위에서 45위로 10계단 상승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민간 투자 분위기 확산에 주력하고 추가경정예산이 조속히 국회를 통과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세종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2019-05-29 8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