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동전 없는 사회’ 사업 실적 갈수록 부진…2년새 26% 감소

한국은행 ‘동전 없는 사회’ 사업 실적 갈수록 부진…2년새 26% 감소

남상인 기자
입력 2019-10-08 08:09
수정 2019-10-08 08: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공급자 편의에 맞춘 사업 구조와 홍보 부족이 주요인

한국은행의 ‘동전 없는 사회’ 사업 실적이 부진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3분기 이래 6개 유통업체, 10개 선불전자금융업자 등이 참여했으나 동전 적립 서비스 이용건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8일 김정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은행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2017년 4월 시작한 ‘동전 없는 사회’ 사업은 서비스 제공 매장(편의점 4곳, 대형마트 2곳)에서 현금 결제 후 남은 거스름돈을 고객의 교통카드나 포인트 카드에 적립해주는 방식이다. 동전 유통량을 줄여 제조·관리 비용을 아끼고 현금 결제의 편의성도 높이겠다는 취지다.

하지만 참여 매장 수(3만 6000여 곳)를 감안하면 매장당 동전 적립건수는 사업 기간 내내 하루 1건에도 못 미쳤다. 2017년 3분기 하루 평균 3만 4324건이던 서비스 이용건수도 올해 2분기 2만 5420건으로 25.9%나 감소했다. 하루 평균 동전 적립액도 같은 기간 599만 7000원에서 484만 9000원으로 줄었다. 건별 적립액은 200원 안팎으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이처럼 사업 부진은 동전 적립 방식을 소비자보다 공급자 편의에 맞춘 사업 구조와 홍보 부족이 주요인으로 꼽힌다. 한은은 사업 초반 참여 매장과 서울 시내 학교에 홍보 포스터를 게시하고 서울 도심 전광판에 영상 광고를 했지만 이후엔 별다른 홍보 활동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서비스 이용 불편은 보다 근본적인 사업 부진 요인이다. 사업 참여 매장의 97% 이상을 차지하는 편의점은 4개 가맹점별로 자사 포인트카드나 그와 연계된 교통카드를 통해서만 동전 적립이 가능하다. 모든 편의점에서 잔돈 적립을 하려면 카드 4장을 갖고 다녀야 한다. 지나치게 공급자 위주로 서비스가 운영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갈수록 줄어드는 현금 거래 추세도 주 요인으로 거론된다. 한은의 ‘현금사용행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의 현금 지출액은 월평균 64만원으로 3년 전인 2015년(81만원)에 비해 17만원 가량 감소했다. 또 2015년엔 가계 지출 중 현금 비중은 38.8%로 신용·체크카드(37.4%)와 비슷했지만, 지난해엔 카드(52.0%) 비중이 현금(32.1%)을 월등히 앞섰다.

한은은 ‘동전 없는 사회’ 사업 2단계로 소비자 은행 계좌로 잔돈을 직접 넣어주는 서비스를 올해 안에 시작한다. 매장에서 모바일이나 실물 형태의 현금카드를 제시하면 현금 구매 후 거스름돈을 계좌로 입금해주는 방식이다.

김 의원은 “‘동전 없는 사회’ 사업 취지는 시대적으로 인정되나 거스름돈 적립서비스 이용이 불편해 호응도가 낮은 실정”이라며 “한은은 사업을 전면 재검토해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남상인 기자 sanginn@seoul.co.kr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