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 유해인 줄 알았는데...70여년 만에 유족 품으로 돌아온 국군 전사자

미군 유해인 줄 알았는데...70여년 만에 유족 품으로 돌아온 국군 전사자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입력 2023-01-18 16:10
업데이트 2023-01-18 16: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군인 줄 알고 태평양까지 건넜다가 돌아온 국군 전사자 유해가 73년 만에 가족 품으로 돌아왔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은 2001년 미군 조사단이 처음 발견했던 유해가 고(故) 최봉근 일병인 것을 최종 확인했다고 18일 밝혔다. 국유단은 이날 경남 밀양시에 있는 유족 자택에서 ‘호국 영웅 귀환 행사’를 열고 유해를 유족에게 전달했다.

최 일병 유해를 처음 발견한 건 미군 전사자 유해 발굴단이었다. 강원 춘천시 사북면 일대에서 오른쪽 정강이뼈 일부를 발견한 미군은 이를 미군 전사자로 추정해 신원 확인을 위해 미 하와이 감식센터로 옮겼다. 한미 공동연구를 거쳐 국군 전사자라는 게 드러났고, 2021년 9월 ‘한미 유해 상호 인수식’을 통해 다른 유해 65구와 함께 국내로 봉환됐다. 당시만 해도 신원을 알지 못했지만 유전자 대조를 거쳐 고인의 딸 월선씨와 부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고인은 1920년 밀양시에서 태어났으며 1950년 10월 1일 국군이 38선을 돌파한 날 31세로 산화했다. 최월선씨는 아버지의 귀환 소식에 “끈을 놓지 않고 오래 기다린 끝에 아버지를 만날 수 있어 감격스럽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국유단, 6.25전사자 발굴 유해 2구 신원확인
국유단, 6.25전사자 발굴 유해 2구 신원확인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이 6·25전사자 유해 2구의 신원을 고(故) 최봉근 일병, 고(故) 오문교 이등중사로 확인해 70여 년 만에 가족의 품으로 모신다고 18일 밝혔다. 사진은 지난 2021년 9월 ‘한·미 유해 상호 인수식’에서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채 송환된 국군 6·25전사자 유해 66구 중 처음으로 신원이 확인된 고(故) 최봉근 일병의 오른쪽 정강이뼈 유해.
국유단 제공
한편 국유단은 2019년 강원 철원군 화살머리고지에서 수습했던 유해가 고(故) 오문교 이등중사라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고인은 임신한 아내를 뒤로한 채 입대한 뒤 1953년 7월 10일 전사했다. 오 중사의 ‘호국 영웅 귀환 행사’는 19일 광주 서구에 있는 유가족 자택에서 열린다.

이미지 확대
6.25전사자 발굴 유해 2구…70여 년 만에 가족의 품으로
6.25전사자 발굴 유해 2구…70여 년 만에 가족의 품으로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국유단)이 6·25전사자 유해 2구의 신원을 고(故) 최봉근 일병, 고(故) 오문교 이등중사로 확인해 70여 년 만에 가족의 품으로 모신다고 18일 밝혔다. 사진은 2019년 6월 강원도 철원군 화살머리고지에서 발굴된 고(故) 오문교 이등중사의 유해가 노출 완료된 모습.
국유단 제공
강국진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