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통일재원 부담되지만 길게보면 이익”

MB “통일재원 부담되지만 길게보면 이익”

입력 2011-05-11 00:00
업데이트 2011-05-11 0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독일 방문 사흘째를 맞은 이명박 대통령은 10일 베를린 시내 도린트 호텔에서 독일 통일의 주역들과 조찬간담회를 갖고 독일의 통일 경험을 들으면서 한반도 통일 문제에 대해 허심탄회한 의견을 나눴다.

이미지 확대
이대통령 프랑크푸르트서 CEO와 대화 독일을 공식 방문 중인 이명박 대통령이 10일 오후(현지시간) 프랑크푸르트 상공회의소에서 열린 독일 주요기업 최고경영자(CEO)들과의 간담회에 앞서 참석자들과 악수를 나누고 있다. 프랑크푸르트 김명국기자 daunso@seoul.co.kr
이대통령 프랑크푸르트서 CEO와 대화
독일을 공식 방문 중인 이명박 대통령이 10일 오후(현지시간) 프랑크푸르트 상공회의소에서 열린 독일 주요기업 최고경영자(CEO)들과의 간담회에 앞서 참석자들과 악수를 나누고 있다.
프랑크푸르트 김명국기자 daunso@seoul.co.kr


간담회에는 동독의 마지막 총리로 서독과의 통일 협상을 이끈 로타르 드 메지에르 전 총리, 통독 당시 서독 내무장관으로 통일 조약에 서독 측 대표로 서명한 볼프강 쇼이블레 재무장관, 헬무트 콜 전 서독 총리의 보좌관으로 통독 프로세스를 설계한 호르스트 텔치크 전 총리 외교보좌관, 통일 당시 서독 육군의 동부지역 사령관으로 동·서독 군 통합을 주도한 외르크 셴봄 전 독일 국방 차관 등이 참석했다.

간담회에서 ‘통독 주역’들은 “당시 독일은 통일에 대해서 가장 큰 부담이었던 구 소련과 끊임없이 대화하고 협력함으로써 마지막으로 외교적으로 통일을 할 수 있었다.”면서 “독일이 구 소련(러시아)과 협력했던 것처럼 한국도 중국과 그런 노력을 앞으로 꾸준히 할 필요가 있다.”고 충고했다. 이어 “통일은 언제 어떻게 올지 전혀 모르기 때문에 항상 준비하고 생각해야 한다.”면서 특히 통일 재원은 미리 준비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참석자들은 “독일은 통일이 된 후 몇 개월이 지나서 독일 통일기금을 책정하는 등 재정적으로 통일 이후에야 처음으로 검토하고 대비했다.”면서 “한국은 분단된 상황에서 사전에 경제적 소요를 예측하고 탈북자 문제, 북한 주민의 지원과 교육·복지·의료문제에 대해서 치밀하게 사전 대비를 한다면 독일이 겪었던 많은 시행착오를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독일은 당시 1990년부터 동·서독 경제통합을 위해 향후 4년간 1200억 도이치마르크가 들 것으로 판단했지만, 실제로는 1년마다 1500억 도이치마르크가 들었고, 이 때문에 독일국민들은 지난 20년간 꼬박 통일세를 납부해 오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 대통령은 통일 재원 문제와 관련, “우리 국민들 중에 워낙 남북 간 경제 격차가 크다 보니까 경제적인 부담을 느끼는 사람이 있을 수 있지만 결국 길게 보면 통일은 긍정적인 면이 많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또 오는 10월 서울에서 첫 회의가 열릴 예정인 한독 통일자문위원회에 이번 간담회에 참석한 네 명의 ‘통독주역’들을 모두 초청해 통일 문제에 대해 보다 심도깊은 논의를 하기로 했다.

이어 전용기편으로 프랑크푸르트로 이동한 이 대통령은 프랑크푸르트 상공회의소 회의장에서 폴크스바겐, 바스프, 지멘스, 보슈 등 독일 주요 기업의 경영진 19명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는 자동차, 기계부품, 화학·제약, 금융 등 분야별로 양국 간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가 이뤄졌다. 이 대통령은 아시아 국가 중 최초로 유럽연합(EU)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한국을 독일 기업들이 전략적 거점으로 활용해 중국, 아세안, 인도 등 동아시아 신흥시장에 진출하면 매우 유리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부품소재, 녹색산업 분야에서 독일 기업들이 한국 투자를 확대하는 데 앞장서 줄 것을 당부했다.

베를린·프랑크푸르트 김성수기자

sskim@seoul.co.kr
2011-05-11 6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