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위안부’ 국제연대 강화…세계 기록유산 등재도

‘軍위안부’ 국제연대 강화…세계 기록유산 등재도

입력 2014-02-09 00:00
업데이트 2014-02-09 14: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중일 국제 학술회의…중국 “일본 침략자료 공개”

한국과 중국, 일본 학자들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국제 연대 강화와 세계 기록유산 등재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한중일 학자들은 9일 중국 상하이(上海)사범대학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한중일 학술회의’에서 일본군 위안부 연구 성과 발표와 문제 해결을 위안 방안을 논의하면서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

이신철 성균관대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연구교수, 부핑(步平) 전 중국사회과학원 근대사연구소장, 후지나가 다케시(藤永壯) 일본 오사카산업대 교수 등이 대표로 참석한 가운데 지난 8일부터 이어진 이번 학술회의에는 30여 명의 한중일 학자들이 참석했다.

학자들은 한중일 협력은 물론 다른 피해지역인 인도네시아, 필리핀, 대만, 네덜란드 등과 군(軍) 위안부 문제에 대한 관심을 가진 세계 각국의 연구자들과 국제적인 연대 강화를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한국과 중국, 일본에 흩어져 있는 사료들을 모아 인터넷 사이트에 공개하고 자료들을 데이터 베이스화 하기 위한 협력과 교류도 폭넓게 진행하기로 했다.

참석자들은 중국 사료보관 기관들은 소장하고 있는 일본군 침략 자료를 연구자들에게 공개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기도 했다.

’난징(南京)대학살’을 비롯한 일본의 중국 침략 자료를 보관하고 있는 중국 제2역사당안관의 마천두(馬振犢) 부관장은 “학술연구를 통해 일본의 잘못된 인식을 바꿔나가야 한다”며 “연구자들이 찾아오면 소장 자료들을 적극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한중일 학자들은 또 해마다 정기적인 학술회의를 통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실상을 전 세계에 알려 나가기로 했다.

이번 회의에 참석한 연구자를 중심으로 일본군 위안부관련 기록을 유엔 교육·과학·문화기구(유네스코) 세계 기록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노력도 기울이기로 했다.

학자들은 한국과 중국은 물론 북한이나 필리핀, 네덜란드 등에 있는 자료도 함께 등재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유네스코는 세계적으로 영향이 있는 인류의 중요한 기록물을 2년마다 선정해 등재하고 있다.

앞서 한국 여성가족부는 지난달 일본군 위안부관련 자료의 현황을 조사해 2017년 유네스코 세계 기록유산 등재 신청 준비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일본 가고시마(鹿兒島)현 ‘지란(知覽)특공평화회관’은 지난 4일 태평양전쟁 말기 ‘가미카제’(神風) 자살특공대로 동원됐던 대원들의 유서 등을 세계 기록유산으로 등재 신청키로 해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