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일 訪中] 中 지렛대로 경제발전 구상… 내친김에 광저우·선전까지?

[김정일 訪中] 中 지렛대로 경제발전 구상… 내친김에 광저우·선전까지?

입력 2011-05-24 00:00
업데이트 2011-05-24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69세·무숙박·3200㎞ 강행군… 김정일 무엇이 절실했기에

‘김정일판 남순강화’(南巡講話)와 ‘아버지에 대한 향수’ 그리고 ‘후계구도 굳히기’….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방중 일정이 장기화되면서 그의 방중 목적도 행적을 통해 하나둘 드러나고 있다. 특히 김 위원장이 69세라는 물리적 나이와 뇌졸중이라는 중병을 겪은 신체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사흘간 3200여㎞를 기차로 이동하는 ‘무숙박 강행군’을 한 것은 그만큼 절실한 목적이 있었다는 것이고, 그것이 장쑤성 양저우(揚州)에서 시작된 ‘남방 순례’에서 구체화되고 있는 형국이다.

이미지 확대
대형 할인매장 ‘깜짝 방문’  중국 장쑤성 양저우를 방문하고 있는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원 안 선글라스 낀 사람)이 23일 숙소인 영빈관 근처에 있는 대형 할인매장을 둘러본 뒤 나오고 있다. 양저우 연합뉴스
대형 할인매장 ‘깜짝 방문’
중국 장쑤성 양저우를 방문하고 있는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원 안 선글라스 낀 사람)이 23일 숙소인 영빈관 근처에 있는 대형 할인매장을 둘러본 뒤 나오고 있다.
양저우 연합뉴스
베이징의 한 소식통은 23일 “김 위원장의 이번 방중은 큰 맥락에서 중국을 지렛대로 삼아 경제발전을 해야겠다는 다짐과 아버지인 고 김일성 주석에 대한 향수라는 측면에서 지난해 8월 동북지방 순례와 비슷한 목적으로 보인다.”면서 “후계구도 안착도 염두에 두고 있겠지만 가장 큰 것은 경제발전을 위한 구상 다지기일 것”이라고 해석했다. 내친김에 상하이, 더 멀리 광둥성 광저우와 선전까지도 갈 수 있다는 얘기이고, 여기서 개방이나 경제발전과 관련한 중대한 발언이 나온다면 그야말로 ‘김정일판 남순강화’가 아니겠느냐는 것이다.

하지만 ‘남방 순례’의 첫날 일정은 예상과는 달리 조용했다. 양저우의 대표적인 ‘녹색성장’ 산업지구인 한장경제개발구를 방문하긴 했지만 나스닥에 상장된 중국 최대 규모 태양광 설비업체인 징아오(晶澳)태양에너지 등을 방문하는 데 그쳤다. 숙소에서 휴식을 취한 뒤 오후에 또 다시 행보에 나섰지만 숙소 인근 대형 할인마트인 쑤궈(蘇果)를 깜짝 방문해 15분 동안 둘러봤을 뿐이다. 이곳에서 김 위원장은 쌀과 식용유 등에 관심을 나타낸 것으로 알려졌다.

오전에 잠깐 아버지인 고 김일성 주석이 1991년 10월 방중했을 때 장쩌민(江澤民) 전 주석과 함께 둘러본 양저우의 대표적 명소인 서우시후(瘦西湖·항저우의 시후보다는 작고 홀쭉하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를 찾아 일행들과 간단한 뱃놀이를 즐기기도 했지만 대부분의 시간을 숙소에서 보냈다. 일각에서는 이런 한가한 행보에 대해 남부 경제개발 핵심 지역을 둘러보거나 후진타오 주석 등과의 정상회담을 준비하기 위한 ‘숨 고르기’로 해석하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실제 이날 김 위원장은 장 전 주석 등과 장시간 만찬을 즐긴 것으로 전해졌다. 이 자리에는 장 전 주석의 조카인 왕옌원(王燕文) 양저우시 당서기 등 중앙과 지방의 지도자들이 대거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장쑤성 예술단 등의 공연을 곁들인 만찬은 오후 10시 넘어까지 계속됐다. 한 소식통은 “김 위원장이 양저우가 고향인 장 전 주석과 여러 차례 정상회담을 했고, 2006년에는 퇴임 후에도 광저우에서 만난 적이 있다는 점에서 삼남인 김정은 노동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으로의 권력 승계 등과 관련한 얘기들을 심도 있게 나눴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전날 오후 늦게 인근 난징공항에서는 노선 운항이 없는 북한 고려항공 소속 항공기가 목격되기도 했다. 일정이 장기화되고 있는 김 위원장 일행에게 필요한 물품 등을 보급하는 한편, 이날 만찬에 참석할 예술단원 등을 태우고 온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김 위원장의 향후 움직임과 관련, 상하이 영빈관인 시자오빈관 등의 경비 강화 등을 근거로 상하이 이동설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한 소식통은 “원자바오 총리의 발언(중국의 발전 상황을 보여 주려고 초청했다)을 잘 새겨봐야 한다.”면서 난징을 거쳐 곧바로 개혁·개방 1번지인 광둥성으로 향할 가능성을 제기했다.

베이징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2011-05-24 5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