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TV로 전환땐 北주민 남한방송 못봐”

“디지털TV로 전환땐 北주민 남한방송 못봐”

입력 2011-11-23 00:00
업데이트 2011-11-23 16: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하태경 열린북한방송 대표는 23일 “아날로그 방식인 남한의 TV방송이 내년에 디지털로 전환되면 북한 주민은 외부정보를 접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 하나를 잃게 된다”며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하 대표는 이날 열린북한방송, 자유조선방송, 자유북한방송 등의 공동주최로 서울 전국은행연합회관 에서 열린 ‘북한 언론자유를 위한 미디어 국제회의’에서 “북한 주민의 인권을 생각한다면 이들이 더 많은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는데 그런 노력이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아날로그 전파는 멀게는 함경남도 지역까지 닿기 때문에 북한 주민이 남한TV를 시청할 수 있었지만, 디지털 신호로 전환되면 시청이 불가능해진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독일 슈피겔지 프리랜서 기자인 말테 콜렌버그씨는 “과거 동독은 서독의 TV 전파가 쉽게 잡힌다는 사실을 가볍게 생각했다”며 “이에 따라 동독 주민이 버튼 하나로 자신의 생활과 서독의 상황을 비교하고 자신의 상황을 깨달아 변화를 요구하는 계기가 됐다”고 TV시청의 의미를 강조했다.

콜렌버그씨는 또 “서독 주민의 동독 관광이 허용되고 나서 관광 수입이 동독의 생존에 필수요소가 됐다”며 사회문화 교류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주최 측은 중국 단둥과 북한 신의주를 오가며 장사하는 화교 남성과의 통화녹취를 공개했는데 이 남성은 “최근 강성대국을 위한 외화벌이를 위해 식당 접대원부터 화가까지 다양한 북한사람이 중국에 나와 있다”며 “월급이 많이 올라 800위안(14만5천원가량)인데 이 중 100∼200원을 제외하고는 당국이 거둬가 강성대국 건설에 보탠다고 한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