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대통령 ‘공약 후퇴’ 사과] 취임 7개월새 세 차례… 만찬·회의서 “죄송… 송구”

[박대통령 ‘공약 후퇴’ 사과] 취임 7개월새 세 차례… 만찬·회의서 “죄송… 송구”

입력 2013-09-27 00:00
업데이트 2013-09-27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朴대통령 사과 스타일

박근혜 대통령의 26일 사과 발언은 취임 이후 세 번째다.

첫 번째 사과는 지난 4월 12일 나왔다. 박 대통령은 당시 청와대에서 민주당 지도부와 만찬을 함께하며 ‘부실 인사’에 대해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난 3월 30일 청와대 김행 대변인이 허태열 비서실장 명의의 사과문을 대신 발표하는 ‘17초 대독 사과’ 논란에 대한 비판 여론이 비등한 상황에서 이뤄졌다는 점에서 뒷맛이 남았다.
이미지 확대


두 번째 사과는 윤창중 전 대변인의 ‘성추행 의혹’ 사건이 계기가 됐다. 박 대통령은 지난 5월 13일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공직자로서 있어서는 안 되는 불미스러운 일이 발생해 국민 여러분께 큰 실망을 끼쳐 드린 데 대해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대상을 ‘국민’으로 명확히 한 첫 대국민 사과였다.

박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기초연금 문제와 관련해 “죄송한 마음”이라고 표현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국민들께 이해를 구하는 것”으로 해석했지만, ‘죄송’이라는 단어에 사과의 뜻이 담긴 것으로 풀이됐다. 그러나 사과의 대상이 국민인지 기초연금을 받지 못하게 된 ‘30% 어르신’인지 불분명하다는 점에서 사과 수위는 두 번째보다 낮아졌다.

박 대통령의 세 차례 사과는 모두 회의나 만찬 자리에서 비공식적인 방식으로 이뤄졌다. 역대 대통령들이 주로 기자회견과 같은 공식적인 방식으로 TV 앞에서 고개를 숙였던 대국민 사과와 대비된다.

박 대통령이 가장 최근에 대국민 사과를 위해 TV 카메라 앞에 선 것은 1년여 전이다. 박 대통령은 새누리당 대선후보 시절인 지난해 9월 24일 과거사 논란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열어 “5·16, 유신, 인혁당 사건 등은 헌법 가치가 훼손되고 대한민국의 정치 발전을 지연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면서 대국민 사과를 했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3-09-27 3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