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용·송병준, 일제때 여의도 3배 토지보유

이완용·송병준, 일제때 여의도 3배 토지보유

입력 2010-07-01 00:00
업데이트 2010-07-01 05: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표적 친일 인사인 이완용과 송병준이 일본 강점기 때 여의도 면적의 3배에 달하는 땅을 소유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위원회(이하 조사위)는 1일 “일제강점기 당시 토지조사사업(1910∼1918년)과 임야조사사업(1916∼1924년) 시점을 기준으로 이완용과 송병준 두 명의 토지 현황을 보면 여의도 면적의 약 3배에 가까운 2천430만㎡를 소유했다”고 밝혔다.

이완용은 여의도 면적의 약 1.9배인 1천309필지(1천573만㎡)를, 송병준은 여의도 면적 크기인 570필지(857만㎡)를 각각 소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완용은 1920년부터 집중적으로 토지를 매각, 해방 후에는 부동산 재산이 거의 처분됐다고 조사위는 전했다.

이완용 후손은 1992년 서울 서대문구 북아현동 일대 2천372㎡(당시 시가 30억원)의 땅을 ‘조상 땅 찾기’ 소송으로 되찾은 뒤 팔고 나서 이민을 했다고 조사위는 덧붙였다.

송병준도 1930년대 부동산 대부분을 처분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특히 일제강점기때 일본 홋카이도 땅 약 1천850만㎡를 일제로부터 하사받았다는 기록도 발견됐다고 조사위는 소개했다.

송병준 후손은 인천 부평 미군부대 일대의 땅 36만5천㎡(공시지가 2천564억원)를 돌려달라며 국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해 1,2심에서 패했으며 지금은 상고심이 진행중이다.

이처럼 두 사람은 한때 엄청난 규모의 땅을 소유했지만, 국가귀속이 결정된 부지는 미비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완용의 재산 가운데 국가귀속결정이 내려진 땅은 16필지(1만928㎡)로 공시지가로 7천만 원 상당이다. 송병준은 공시지가 4천700만원 상당의 9필지(2천911㎡)만 국가귀속으로 결정됐다.

김창국 조사위원장은 “두 명이 일제 강점기 때 취득한 부동산을 거의 다 처분해 남은 재산은 많지 않다”며 “60∼100여년 전의 사실에 대한 친일재산 조사가 좀 더 일찍 시작되지 않은 점이 아쉽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