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장애 아버지·지체장애 아들 ‘아름다운 나눔’

시각장애 아버지·지체장애 아들 ‘아름다운 나눔’

입력 2011-01-04 00:00
업데이트 2011-01-04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민들에게 봉사하는 방법 알려드려요”

“봉사 활동 자체도 중요하지만 시민들에게 봉사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는 게 더 중요합니다.”

불편한 몸에도 불구하고 사비를 털어 다른 사람을 위한 봉사에 매진하는 부자(父子)가 있다. ‘안덕균복지나눔센터’의 안덕균(45) 대표와 그의 아버지 병의(80)씨가 주인공. 각각 지체장애와 시각장애를 갖고 있으면서도 다른 사람들을 위해 끊임없이 나눔을 실천하는 두 사람을 3일 서울 동선동 사무실에서 만났다.

이미지 확대
3일 서울 동선동 ‘안덕균 복지나눔센터’에서 안덕균(왼쪽) 대표와 아버지 안병의씨가 미소를 띤 얼굴로 봉사활동에 사용할 풍선아트장식을 만들고 있다.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3일 서울 동선동 ‘안덕균 복지나눔센터’에서 안덕균(왼쪽) 대표와 아버지 안병의씨가 미소를 띤 얼굴로 봉사활동에 사용할 풍선아트장식을 만들고 있다.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봉사강의’ ‘봉사캠프’ 꾸준히 열어

안덕균복지나눔센터는 장애인·독거노인·청소년 등을 대상으로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다. 특히 자원봉사를 원하는 시민들에게 봉사활동 장소를 연결해 주고 실제 현장에서 부딪히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방법을 가르쳐주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안 대표는 이를 ‘봉사학습’이라고 말했다. 그는 “의욕만 앞세워 복지시설을 찾아간다고 봉사를 할 수 있는 게 아니다.”라면서 “장애인들을 목욕시키는 법, 현장에서 복지사들과 소통하는 법 등을 알고 있어야 보다 효율적인 봉사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안 대표는 중고생들과 대학생 등을 대상으로 한 ‘봉사강의’와 ‘봉사캠프’ 등을 꾸준히 열고 있다.

●모든 활동비를 사비로 충당

안 대표는 1997년 고관절 수술 뒤 지체장애 4급 판정을 받은 장애인이다. 그는 “지금도 추운 날씨에는 수술한 부위가 쑤시는 등 몸이 아프지만 봉사활동 현장에 가면 싹 잊게 된다.”며 미소지었다.

모든 활동비를 사비로 충당하고 있어 경제적 사정이 매우 어렵다. 주변 지인이나 후원자들의 도움이 없다면 활동을 이어가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하지만 봉사를 멈출 생각은 없다.

안 대표는 “도와주시는 분들의 사랑과 나눔이 저를 통해 필요한 이들에게 전달되는 것뿐”이라고 겸손하게 말했다.

●아버지 영향으로 나눔활동 헌신

안 대표가 봉사와 나눔 활동에 투신하게 된 것은 아버지의 영향이 컸다. 아버지 안씨 역시 왼쪽 눈이 보이지 않는 6급 시각장애인이지만 수십년 동안 봉사활동을 이어왔다.

그는 낮에는 서울시 장애인복지시설협회에 소속돼 ‘사랑의 저금통 사업’을 펼친다. 고령의 나이에도 서울시 460여개 동 주민센터를 일일이 돌며 저금통을 배포하고 수거한다.

일과를 마친 밤에는 호스피스 활동을 해 왔다. 그는 “건강이 허락하는 한 온 힘을 다해 봉사활동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 대표는 새해 목표도 봉사 활동에 초점을 맞췄다. 안 대표는 “올해 대학에 진학해 사회복지학을 전공하는 것이 목표”라면서 “지금까지의 현장 경험에 학문까지 더하면 더 좋은 봉사와 나눔을 실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게 웃었다.

윤샘이나기자 sam@seoul.co.kr
2011-01-04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