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터리 부활한다…국토부 설계지침 마련

로터리 부활한다…국토부 설계지침 마련

입력 2011-01-11 00:00
업데이트 2011-01-11 11: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때 교통체증을 일으킨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우리나라 도로 구조에서 사라졌던 로터리(회전교차로)가 부활한다.

 국토해양부는 원활한 소통과 녹색교통을 실현하기 위해 한국형 로터리 설계지침을 제정해 향후의 도로건설에 본격 적용하기로 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미지 확대
울산 무거로터리 연합뉴스
울산 무거로터리
연합뉴스


 로터리는 신호등 없이 자동차들이 교차로 중앙에 설치된 원형교통섬을 중심으로 교차로를 통과하는 도로구조로,회전교차로로 불린다.

 1990년대 이전에 존재하던 우리나라의 로터리는 진입 차량이 회전 차량보다 우선 진행하고 규모도 컸지만,새로 도입되는 로터리는 회전 차량이 우선 진행하고,크기도 작게 설계된다.

 로터리는 설계속도가 시속 70km인 이하의 도로에 적용되며,자동차 및 진입차로수를 기준으로 소형과 1차로형,2차로형으로 구분된다.

 또 교차로에 접근하는 교통 수요를 기준으로 소형은 1일 1만2천대,1차로형은 1만7천대,2차로형은 2만7천대 이하인 경우에 로터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했다.

 국토부는 한국형 로터리의 보급을 위해 다양한 활성화 대책을 마련,도로 건설에 본격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우리나라 전체 교차로의 10%를 회전교차로로 전환하면,에너지 절감과 오염물질 배출량 감소 등으로 연간 약 2조439억원을 아낄 수 있을 것으로 추산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