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량볍씨’는 누구 잘못? 종자원-농가 대립

‘불량볍씨’는 누구 잘못? 종자원-농가 대립

입력 2011-05-06 00:00
업데이트 2011-05-06 11: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종자원 “이상기온이 주원인” VS 농가 “소독제 탓”

정부에서 보급한 벼 종자가 싹을 틔우지 않는 ‘불량볍씨’의 발생원인을 놓고 ‘이상기온’ 때문이라는 국립종자원과 ‘소독처리 잘못’이라는 농가들이 맞서고 있다.

피해원인을 놓고 양측이 대립하면서 보상범위도 달라 종자원은 종자대와 상토대 등에 대해서는 보상을 해 줄 계획이지만 농가와 일선 지자체에서는 인건비 등에 대해서도 보상을 요구하고 있다.

6일 국립종자원 전남지원과 전남도 등에 따르면 광주.전남지역에 공급된 2010년산 벼 보급종은 10여 종에 총 4천555t으로 이중 발아지연 등의 피해가 나타난 품종은 호품벼 1종이다.

일반적으로 밥맛이 좋으면 알곡이 적고 알곡이 많으면 밥맛이 떨어지지만 호품벼는 밥맛이 좋으면서 수확량도 많아 최근 농가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올해 전국에 보급된 벼 품종 가운데 추정벼, 삼광벼 다음으로 3위를 차지할 만큼 반응이 좋았지만 정부 보급종으로는 강원도의 오대벼 등과 함께 올해 발아지연이 나타난 품종으로 이미지가 깍였다.

종자원은 호품벼의 발아지연은 지난해 수확철 태풍과 잦은 비로 인해 벼 낟알이 제대로 여물지 않았던 점과 올 봄철 예년보다 낮은 기온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 있다.

반면 농가에서는 종자원이 농가에 보급하기 전에 처리하는 볍씨 소독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다.

소독작업을 하지 않고 친환경 재배용으로 공급된 호품벼는 이번 발아지연 현상을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보상범위를 놓고도 종자원과 농가들의 시각이 다르다.

종자원은 정부 보급종 볍씨 중 발아지연 등의 피해를 입은 농가에 대해서는 종자대와 상토대 등을 보상해주기로 했다.

호품벼는 이 지역에서 일미(1천293t)와 새누리(722t) 다음으로 보급량이 많은 712t이 6천833 농가에 보급됐으며, 통상 1㏊에 볍씨 65㎏을 파종하는 점을 고려하면 전남의 경우 벼 재배면적의 약 6% 정도인 1만1천여㏊가 피해보상 대상이 된다.

종자원은 이들 농가에 보급된 종자 값만으로 약 10억여원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여기에 상토대 등도 피해를 보상해주기로 했다.

대체종자를 파종할 시기가 아직 남아 있는 만큼 종자대, 상토대 이외의 피해보상은 필요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종자원 관계자는 “발아지연 등에 대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모든 피해를 보상해 주기는 어렵다”며 “농업진흥청이 원인조사를 하고 있는 만큼 결과를 보고 판단할 문제이다”고 말했다.

그러나 피해농가들은 종자대와 상토대만으로는 피해구제가 되지 않는다며 인건비 등도 반드시 보상해줘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파종을 다시하려면 인건비가 또 들어가는데 그 비용이 생산비용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농번기 인력 구하기도 쉽지 않아 파종시기를 제때 맞추기도 어려워 피해가 커질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전남도 등 일선 지자체도 농가의 이같은 상황을 받아들여 줄 것을 정부와 종자원에 요구하고 있다.

전남도 관계자는 “재파종을 해야 하는 농가 입장에서는 인건비가 보상되지 않으면 다시 농사를 시작하기가 쉽지 않다”며 “정부가 이 문제에 더욱 관심을 갖고 대응방안을 세우도록 적극적으로 요청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전남도는 이번 불량볍씨로 인한 피해상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22개 일선 시군과 함께 전수조사에 나섰다.

전남도는 피해 규모 등이 확인되는대로 정부가 지난해 매입했던 벼 보관분 중 우수종자를 대체종자로 농가에 보급하는 방안을 정부와 협의하고 있어 이르면 다음 주 초 대체종자가 농가에 보급될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