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대아동 10명 4명은 매일 학대받아”

“학대아동 10명 4명은 매일 학대받아”

입력 2011-05-11 00:00
업데이트 2011-05-11 13: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복지부 “학대가해자 83.2%가 부모”

지난해 학대를 겪은 우리나라 아동 10명 중 4명이 거의 매일 학대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를 인용해 지난해 학대를 받은 전체 아동 5천657명 중 2천320명(41.0%)이 거의 매일 학대를 경험했다고 11일 밝혔다.

다음으로 2∼3일에 한 번 학대를 받은 아동은 1천81명(19.1%), 일주일에 한 번은 689명(12.2%)으로 나타났다.

또 같은 해 학대를 경험한 3세 미만 영아가 2009년 455명보다 16% 증가한 530명으로 집계됐다.

아동을 학대한 가해자의 직업과 소득을 살펴보면 무직·전업주부·단순 노무직이 65%였으며 소득수준은 100만원 이하가 53%에 달했다.

영아 학대자들은 특히 양육 태도와 방법이 잘못됐거나 사회·경제적 스트레스와 고립을 겪는 사례가 59.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아동 양육에 대한 교육이 절실한 것으로 파악됐다.

아동학대 유형은 여러가지 유형이 함께 나타나는 중복학대가 42.3%, 방임 33.1%, 정서학대 13.7%, 신체학대 6.1% 순이었다.

여기서 방임이란 의식주 제공이나 출생신고, 교육, 의료적 처치 등을 제공하지 않는 행위를 일컫는다.

학대행위 발생장소는 가정 내가 87.9%로 가장 많았고 집근처나 길가 2.8%, 복지시설 2.2%, 어린이집 1.8%, 친척집 0.9%, 학교 0.6%, 이웃집 0.6%로 각각 나타났다.

아동학대자는 부모가 83.2%로 가장 많았는데 자세히 살펴보면 친부 49.4%, 친모 30.2%, 계부 1.3%, 계모 1.9%, 양부·양모 0.4% 순이었다.

부모 외에는 타인 9.4%, 친인척이 6%로 조사됐다.

한편 복지부는 학대피해 아동 보호와 학대자 관리를 위해 아동학대 신고의무 불이행시 과태료 부과, 학대자 피해아동 접근제한·치료위탁 등의 내용을 담은 아동복지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