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어업지도선 ‘禁女의 벽’ 46년 만에 무너져

국가어업지도선 ‘禁女의 벽’ 46년 만에 무너져

입력 2011-11-03 00:00
업데이트 2011-11-03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강효정·김나현·김미경씨 3일 처녀출항

국가어업지도선의 ‘금녀(禁女)의 벽’이 46년 만에 무너졌다.

농림수산식품부 서해어업관리단이 올해 특별 공개 채용한 여성 직원 3명이 국가어업지도선을 타고 3일 처녀 출항한다.

이미지 확대


1966년 10월에 창설해 어업 안전지도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어업지도선은 그동안 철저하게 금녀의 공간이었다. 46년 만에 첫 여성 승선의 영광을 안은 주인공은 강효정(왼쪽부터·26), 김나현(30), 김미경(24) 씨 등 어업감독직 공무원 3명이다. 이들은 부경대와 목포해양대, 전남대 해양 관련 학과를 졸업한 뒤 항해사 면허증을 취득하는 등 승선에 필요한 조건을 갖췄다. 승선에 앞서 한달간 필요한 실무를 익혔다.

강효정씨는 “여성의 사회 진출이 느는 만큼 남성 직원들과 똑같은 조건에서 근무하며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면서 “금녀의 공간인 지도선의 딱딱한 분위기를 바꾸고 어업인과의 유연한 관계 유지에 힘쓰겠다.”고 출항 소감을 밝혔다. 강씨는 1200t급 무궁화 15호를 타고 출항해 배타적 경제수역(EEZ)에서 중국 어선 단속 업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김나현·김미경씨도 500t급 지도선을 타고 제주 서쪽 및 서해 특정 해역에서 위반 어선 단속 등의 업무를 맡는다.

서해어업관리단은 배에 오르는 여성 직원을 위해 화장실과 세면장 등 일부 시설을 고쳐 불편함이 없도록 했다. 목포에 있는 서해어업관리단에는 500t과 1000t이 넘는 어업지도선 15척이 배치돼 있다. 척당 14명이 승선해 7주 정도 해상에서 임무를 수행한다.

목포 최종필기자 choijp@seoul.co.kr

2011-11-03 27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