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FTA 발효시 제주 1차산업 3천400억 감소

한미FTA 발효시 제주 1차산업 3천400억 감소

입력 2011-11-23 00:00
업데이트 2011-11-23 11: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외경제정책硏, 10년간 영향 분석



우리나라와 미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되면 제주의 1차산업이 큰 타격을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제주도는 2008년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 맡겨 한미FTA가 제주의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FTA가 발효되면 향후 10년간 1차산업은 3천377억원, 음식료품 부문은 122억원의 생산 감소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됐다고 23일 밝혔다.

특히 오렌지와 감귤류, 돼지고기의 관세 인하 또는 철폐 등으로 제주산 감귤과 돼지고기, 쇠고기 등이 큰 피해를 볼 것으로 우려된다.

반면 관광산업(음식숙박업)은 135억원, 교육은 88억원, 보건ㆍ의료는 78억원, 기타 서비스 분야는 1천347억원의 생산 증가가 예상됐다.

1차산업의 영향으로 제주 지역총생산은 앞으로 10년간 1천735억원이 줄어들 전망이다.

고용인원은 1차산업 821.3명, 음식료품 71.3명이 감소하지만 관광산업 379명, 보건ㆍ의료 213명, 교육 153명, 기타 서비스 1천658명 등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전체적으로는 1천674명의 고용창출 효과를 보는 셈이다.

제주도는 한미FTA가 지역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한중FTA 체결에 대비한 전략을 세우기 위해 지난 10월 제주발전연구원에 연구용역을 맡겨 내년 2월 제출받을 예정이다.

이를 토대로 감귤과 축산 등 1차 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제주산 상품의 수출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도는 지난 6월 FTA 대응추진단(단장 김부일 환경경제부지사)을 구성, FTA 대응 방안과 제도 개선 등을 논의해 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