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부모 64% “가장 필요한 양육지원은 현금”

영유아 부모 64% “가장 필요한 양육지원은 현금”

입력 2013-01-08 00:00
업데이트 2013-01-08 04: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울시 조사…38.5% “가정양육 보조금 ‘21만∼30만원’ 적정”

서울에서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 약 3명 중 2명은 자녀에게 가장 필요한 양육지원정책으로 ‘현금’을 꼽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서울시 여성가족재단에 따르면 지난해 4월30일-5월9일 자치구 영유아플라자와 장난감도서관 이용자 중 만 0∼5세 자녀를 둔 부모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가장 필요한 양육지원정책으로 64.5%(265명)가 ‘양육수당(현금)’을 선택했다.

이어 응답자의 12.9%(53명)는 ‘육아서비스 이용권(양육바우처) 지원’, 10.9%(45명)는 ‘어린이집 보육’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현금’이 다른 정책보다 현저하게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에 대해 재단은 “양육수당 외에 다른 선택지가 부모들의 다양한 욕구를 반영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또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63.8%(150명)는 양육수당이 증액된다면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지 않고 집에서 양육하겠다고 답했다.

가정에서 양육할 시 적정 양육수당으로는 ‘21만∼30만원’이 38.5%(55명)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다음으로 ‘41만~50만원’(25.1%), ‘15만∼20만원’(16.8%) 순이었다.

지난달 31일 여야는 새해 예산안을 합의하며 올해부터 가정양육을 선택하는 경우에도 소득과 관계없이 연령대별로 10만∼20만원의 양육보조금을 주기로 했다.

그러나 재단 조사 결과를 보면 현재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을 이용하지 않는 자녀의 월평균 양육비용으로는 ‘26만∼50만원’이 전체 응답자의 57.2%(261명)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25만원 이하’는 18.6%(85명), ‘51만∼75만원’은 11.2%(51명)였다.

이에 대해 재단은 “현재 지원되는 양육수당이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육아서비스 이용권(바우처) 지원 시에는 ‘피아노·영어학습 등 교육프로그램 이용’을 선호하는 부모가 전체 응답자의 28.0%(256명)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아이돌보미·베이비시터 등 시간제 보육서비스 이용’이 24.7%였다.

응답자들은 육아와 관련한 가장 큰 어려움으로 ‘양육비용 과다’(37.2%), ‘긴급 상황 시 돌봐줄 사람 부재’(20.3%), ‘어린이집 대기’(18.8%) 등의 순으로 꼽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