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화성사업장 주변 불산 미검출

삼성전자 화성사업장 주변 불산 미검출

입력 2013-02-01 00:00
업데이트 2013-02-01 14: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탱크 바로 옆은 노출기준 내 극미량 나와

국립환경과학원은 불산 누출사고가 난 삼성전자 화성사업장 안팎의 대기를 정밀 측정한 결과 공장 외부에서 불소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1일 밝혔다.

이미지 확대
삼성 불산누출 현장 합동감식 29일 오전 경기지방경찰청, 국립과학수사연구원, 한강유역환경청, 소방방재청, 경기소방재난본부, 화성동부경찰서 관계자들이  불산 가스 누출 사고현장인 경기 화성시 삼성전자 화성반도체 사업장에서 합동 현장감식을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삼성 불산누출 현장 합동감식
29일 오전 경기지방경찰청, 국립과학수사연구원, 한강유역환경청, 소방방재청, 경기소방재난본부, 화성동부경찰서 관계자들이 불산 가스 누출 사고현장인 경기 화성시 삼성전자 화성반도체 사업장에서 합동 현장감식을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환경과학원에 따르면 측정 지점 5곳 가운데 누출 지점에서 790∼1천560m 떨어진 초등학교ㆍ아파트 등 공장 외부 4곳에서 모두 불소가 미검출됐다.

사고가 발생한 불산 탱크 옆 1m 지점에서는 0.004ppm의 불소가 나왔다. 산업안전보건법상 근로자의 불소 노출기준은 0.1ppm이다.

환경과학원 관계자는 “건물 내부에서만 극미량이 검출됐는데 사고 당시 누출된 불산의 영향이거나 바로 옆에 불산 탱크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며 “측정된 농도는 건물 내부에도 불소가 거의 없다고 봐도 되는 정도”라고 말했다.

이번 측정은 사고 다음날인 지난달 29일 오후부터 24시간 동안 공기 시료를 채취한 뒤 흡광광도법을 이용해 불소 이온의 농도를 재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앞서 사고 당일인 지난달 28일 오후 검지관으로 간이 측정할 당시 불산이 누출된 밸브 근처에서 최고 8ppm의 불산이 검출됐다. 다음날 오전에도 최고 0.7ppm이 측정돼 작업장 안전기준인 0.5ppm을 넘었다.

환경부는 이번 정밀측정 결과 방제작업이 마무리된 것으로 보고 추가로 측정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