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무·검찰 평균 18억원…최교일 120억원 최고

법무·검찰 평균 18억원…최교일 120억원 최고

입력 2013-03-29 00:00
업데이트 2013-03-29 09: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퇴 김학의 前차관 15억6천만원 신고

법무부와 검찰 고위 간부들은 평균 18억원 가까운 재산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에 따르면 법무·검찰직 재산공개 대상자 55명의 평균 재산은 17억6천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평균치 16억6천만원보다 1억원 늘어난 것이다. 행정부 전체 공개대상자 평균(11억7천만원)보다 5억9천만원이나 많다.

자산 총액이 10억원을 넘는 사람은 39명(70%)으로 나타났다. 20억원 이상 고액 자산 보유자도 17명(30%)이나 됐다.

최교일 서울중앙지검장의 재산이 119억7천만원으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김경수 대검 중수부장이 60억6천만으로 뒤를 이었다.

이어 이득홍 부산지검장(40억6천만원) 정병두 인천지검장(29억9천만원) 황선태 대한법률구조공단 이사장(28억7천만원) 순이었다.

최 지검장은 지난해(99억6천만원)보다 20억원 가량 재산이 늘어 전체 공직자 중 증가액 1위를 차지했다.

최 지검장의 재산 내역 중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예금으로 본인과 부인, 자녀 예금까지 합해 82억원을 신고했다. 이 중 부인 명의 예금이 72억원에 이른다. 본인과 부인이 소유한 아파트·상가는 26억원, 유가증권은 19억원을 신고했다.

부인 명의 아파트·상가 임대채무도 8억6천만원으로 나타났다.

증가분 대부분은 부인의 월급·주식배당 소득(24억원)이 차지했다. 최 지검장의 부인은 상속받은 기업체를 운영하고 있다. 최 지검장도 급여 저축이 약 1억원 늘었다.

채동욱 검찰총장 내정자는 지난해 11억1천만원에서 1억2천만원 늘어난 12억4천만원을 신고했다. 증가분은 사망한 누나의 상속재산 일부와 정기적금, 급여 등이다.

최근 건설업자 ‘성접대 의혹’에 휘말려 사퇴한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은 15억6천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지난해 16억3천만원보다 6천여만원 감소한 것으로 본인 소유 아파트 가격 하락이 재산 감소의 주원인으로 나타났다.

오광수 대구지검 1차장검사는 2억3천만원을 신고해 검찰간부 중 가장 적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