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학급 운영·맞춤형 교육… 뒤처져도 끝까지 적응 도와

다문화 학급 운영·맞춤형 교육… 뒤처져도 끝까지 적응 도와

입력 2013-05-14 00:00
수정 2013-05-14 00: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변화하는 학교, 작지만 큰 도전

“저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 사람이라고 생각했는데 중국어 수업 때 친구들이 모르는 부분을 알려줄 수 있어서 즐거워요.”
충남의 한 초등학교 아이들이 방과후 교실에서 장구 연주를 배우고 있다.
충남의 한 초등학교 아이들이 방과후 교실에서 장구 연주를 배우고 있다.
충남의 한 초등학교 아이들이 방과후 교실에서 오카리나 연주를 배우고 있다.
충남의 한 초등학교 아이들이 방과후 교실에서 오카리나 연주를 배우고 있다.


경기 시흥시 시화초등학교에 다니는 조선족 다문화가정 학생 유모(11)군은 일주일에 한번 돌아오는 중국어 시간을 손꼽아 기다린다. 교사의 요청으로 중국어 발음 시범 조교 역할을 하는 유군은 “작년에 한국말을 배울 때 친구들한테 도움을 많이 받았는데 이제 내가 도와줄 수 있어서 좋다”고 말했다. 2011년 이 학교에 입학한 유군은 지난 1년간 학교에 설치된 다문화 학급에서 한국어를 집중적으로 배운 뒤 올해부터는 일반 학급에서 모든 수업을 듣고 있다.

다문화가정 학생을 포용하기 위한 각종 정책이 작지만 의미 있는 변화를 보이고 있다. 속도는 느리지만 학교 현장의 다문화 인식을 긍정적으로 바꾸고 있다는 것이 주된 반응이다. 다문화가정 학생인 유군의 학교생활은 일선 학교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 변화를 잘 보여준다. 시화초의 다문화 학급 운영 담당교사 김미(32·여)씨는 “다문화 학생들을 한국 학생들과 분리하지 않고 조화를 이루는 교육을 하다 보니 다문화 학생을 따로 구분하는 분위기가 없다”고 말했다. 전교생 420명 가운데 약 17%에 달하는 73명이 다문화 학생인 시화초는 2006년부터 다문화 학급을 만들어 입학 후 1년간 한국어 집중교육을 통해 학교 적응을 돕고 있다.

다문화가정 학생의 공교육 진입을 위한 예비학교 및 다문화 전담 코디네이터 등의 제도가 뒷받침되면서 중도 입국 자녀의 한국 학교 정착도 속도를 내고 있다. 국내에서 태어나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익숙한 다문화가정 학생과 달리 중도 입국 학생들은 청소년기에 한국에 들어오면서 낯선 언어와 문화 때문에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교육부가 지난해 발표한 다문화 학생 교육 선진화 방안에는 전담 코디네이터와 한국어 교육을 위한 예비학교 26곳 운영 등 지원 사각지대에 있던 중도 입국 자녀를 위한 지원이 대폭 포함됐다. 맞춤형 지원으로 중도 입국 자녀들의 재학률이 2011년 58%에서 1년 새 96%로 크게 올랐다.

일본인 아버지와 한국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7살에 한국에 들어온 다문화가정 학생 이형준(19)군은 공립 대안학교인 서울 다솜학교에서 한국어 교육과정(KSL)과 이중 언어지원 교육을 받은 뒤 올해 초 한 전문대 호텔경영학과에 입학했다. 이군은 “초등학교 저학년 때는 한국말을 잘 못해서 뒤처졌고 학년이 올라가서는 일본인이라고 놀리는 애들 때문에 힘들었는데 이 학교에서는 뒤처지더라도 선생님들이 인내심을 갖고 끝까지 도와줬다”고 말했다.

윤샘이나 기자 sam@seoul.co.kr

2013-05-14 2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