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이면 가정폭력 50% 급증 “모니터링보다 처벌 강화해야”

명절이면 가정폭력 50% 급증 “모니터링보다 처벌 강화해야”

이성원 기자
입력 2020-01-23 21:48
업데이트 2020-01-31 15: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설·추석 연휴 신고 954건·1019건

평일보다 각각 44.5%, 54.4%씩 늘어
경찰 “우려되는 가정 모두 1만여가구
연휴 기간에도 24시간 대응체제 유지”
이미지 확대
“내 허락 없이 친정집에서 자고 오지 말라고 그랬지? 내 말이 말 같지 않냐?”

2018년 9월 26일 추석 연휴 마지막 날 남편 박상훈(39·가명)씨의 발길질이 김지은(37·가명)씨에게 날아들었다. 남편의 잦은 폭행으로 친정과의 사이가 틀어질 대로 틀어진 것이 원인이었다. 박씨는 친정 부모를 만나고 온 김씨를 흉기로 크게 다치게 했다. 참다못한 김씨는 결국 경찰에 신고했고, 서울서부지법은 지난해 8월 특수상해와 폭행 혐의로 기소된 박씨에 대해 징역 1년을 선고했다.

●가족 함께하며 명절 노동으로 잠재 갈등 폭발

설과 추석 연휴만 되면 가정폭력 신고가 평소보다 50%가량 급증한다. 경찰은 이번 설 명절 기간 중 가정폭력 신고가 급증하는 것에 대비해 위험 가정을 면밀히 관찰할 계획이지만, 실제 피해자들은 모니터링보단 처벌 강화가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23일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설과 추석 때 들어온 가정폭력 신고는 각각 954건, 1019건으로 일평균(660건) 대비 44.5%, 54.4%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연휴에는 가족끼리 지내는 시간이 많은 데다 음식 장만 등 명절 노동으로 잠재된 갈등이 폭발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2017년 설과 추석에도 가정폭력 신고 건수는 일평균 대비 각각 40.8%, 32.4% 많았고, 2018년 추석과 설에도 51.7%, 42.4% 증가했다.

경찰은 연휴 기간 가정폭력 재발과 아동학대가 우려되는 가정을 전수 모니터링한다는 계획이다. 경찰은 가정폭력 신고 이력을 따져 재발 위험에 따라 A등급과 B등급으로 나눠 평소에도 감시하고 있다. 이번 설 모니터링 대상 가정은 총 1만 3625가구(A등급 5888곳, B등급 7737곳)이며, 학대 우려 아동은 총 2588명(A등급 1358명, B등급 1230명)이다.

경찰청 관계자는 “올 설 역시 평시 대비 가정폭력 신고가 30~40% 정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전국 경찰서 여성청소년수사팀 및 지구대 등과 정보를 공유하며 연휴 기간에도 24시간 대응체계를 유지해 피해자를 보호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가해자를 피의자로 안 봐, 공권력 적극 투입을

다만 가정폭력 모니터링이 근본적 해결책이 될 수 없다는 지적도 있다. 이수연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가정폭력 모니터링 효과가 극적으로 있진 않겠지만, 경찰 관리 대상자들이 가정폭력 상황에 놓였을 때 경찰에 신고할 가능성은 커 보인다”며 “다만 가정폭력이 심각해지기 전 개입해 극단적 상황까지 가는 것은 막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심연우 가정폭력당사자네트워크 활동가는 “경찰은 가정폭력 가해자를 피의자로 보지 않고 치유의 대상으로만 본다”며 “모니터링은 가정폭력 상담소가 할 역할이다. 경찰은 신고가 들어오면 가해자에 대해 강력한 처벌이 따를 수 있도록 공권력을 적극적으로 투입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2020-01-24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