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험생 65% “무전공 입학해 이과 전공”

수험생 65% “무전공 입학해 이과 전공”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입력 2024-03-19 18:47
업데이트 2024-03-20 06: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종로학원 학생 1104명 설문조사
인기 학과 쏠리는 현상 심해질 듯
76% “문·이과 계열 나눠 뽑아야”

이미지 확대
서울 성균관대 600주년 기념관에서 열린 종로학원이 개최한 ‘2024 정시지원 변화 및 합격선 예측, 합격전략 설명회’에 참석한 학부모가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2023.12.10 오장환 기자
서울 성균관대 600주년 기념관에서 열린 종로학원이 개최한 ‘2024 정시지원 변화 및 합격선 예측, 합격전략 설명회’에 참석한 학부모가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2023.12.10 오장환 기자
올해 고교 3학년생에게 적용되는 2025학년도 대학 입시에서 무전공(전공자율선택) 선발이 확대되는 가운데 수험생 10명 중 6명 이상은 입학 후 자연계(이과) 전공을 선호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19일 종로학원이 수험생 110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무전공으로 입학 후 이과를 선택하겠다는 응답자는 65.0%로 문과(35.0%)보다 2배 가까이 많았다. 무전공 입학생들이 일부 인기 학과로 쏠리는 현상이 심해질 수 있다는 얘기다.

또 수험생 64.5%는 무전공 선발 확대에 공감한다고 답했다. 계열별로는 인문계(문과)생이 74.2%로 이과생(57.7%)보다 공감도가 높았다.

무전공 선발은 전공 구분 없이 대학에 들어간 뒤 2학년으로 올라갈 때 전공을 선택할 수 있는 제도다.

문과생들은 78.7%가 문과 계열을, 이과생은 대부분인 95.8%가 이과 계열을 선호했다. 이과생들의 선호 학과는 인문계열에서는 경제·경영계열(44.4%), 미디어·사회과학계열(33.3%)이 많았고 이과에서는 공학계열(33.2%), 컴퓨터소프트웨어계열(32.2%) 순이었다. 문과생들의 선호 학과는 미디어·사회과학계열(44.0%)이 가장 많았고 경제·경영계열(33.6%)이 뒤를 이었다. 문과생이 이과에서 선호하는 전공은 컴퓨터소프트웨어계열(40.0%)과 공학계열(26.7%)이었다.

무전공 선발 적용 방식은 ‘문·이과 계열 구분을 해서 선발하자’는 응답이 75.7%로 가장 많았다. 무전공 입학 후 졸업할 때 전공 명기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전공 학과를 명기해야 한다’는 의견이 74.8%였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전공 선택 때 특정 학과 선호도가 명확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김지예 기자
2024-03-20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