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수능] 가채점 후 상위권은 정시 상향지원… 중위권은 수시 2차 대비

[2014 수능] 가채점 후 상위권은 정시 상향지원… 중위권은 수시 2차 대비

입력 2013-11-08 00:00
업데이트 2013-11-0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첫 수준별 수능… 지원전략 어떻게

올해 처음으로 수준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지면서 수험생들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입시 전문가들은 7일 우선 가채점을 통해 본인의 수능 성적 원점수 합과 예상 등급, 그리고 백분위 성적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해 신중하게 지원전략을 짜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미지 확대
교복을 차려입은 여고 1, 2학년생들이 7일 대학수학능력시험 고사장인 서울 종로구 안국동의 풍문여고 앞에서 재치 있는 플래카드를 들고 선배 수험생들을 응원하고 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교복을 차려입은 여고 1, 2학년생들이 7일 대학수학능력시험 고사장인 서울 종로구 안국동의 풍문여고 앞에서 재치 있는 플래카드를 들고 선배 수험생들을 응원하고 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무엇보다 자신의 성적과 A·B 영역별 성적 수준, 분포 등을 비교해 오는 11일부터 시작되는 수시 2차 모집에 지원할지, 다음 달 19일 시작되는 정시 모집에 지원할지를 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선 교사와 입시업체들은 이번 수능에서는 영어 B형과 수학 B형이 다소 까다로웠다는 분석이 나온 만큼 지원에서 이를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가채점 결과 수능 점수가 생각보다 낮게 나온 중위권 학생들은 11일부터 시작되는 수시 2차에 대비해야 한다. 건국대, 동국대, 이화여대 등 108개교가 수능 이후 수시 2차에서 3만 2891명을 선발한다. 지난해 113개 대학에서 3만 4826명을 모집했던 것보다 다소 줄었지만, 서울·수도권 주요 대학에서 수시 2차로 선발하기 때문에 중위권 수험생들의 치열한 눈치작전이 예상된다.

수시 2차를 실시하는 대학들은 수능을 반영하지 않고 학생부 전형이나 논술, 적성고사를 치르는 대학들이 대부분이다. 학생부 전형은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반영하며 학생부 100%로 학생을 선발한다. 채용석 배명고 교사는 “최상위권 학생들은 수시 2차에 붙으면 오히려 손해를 보기 때문에 응시하지 않을 확률이 높다”며 “수능을 잘 보지 못한 중위권 학생들, 특히 학생부가 좋거나 논술 실력이 있는 이들은 수시 2차에 대비하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가채점 결과가 생각보다 높게 나왔다면 정시 지원에서 상향지원 전략을 짜야 한다. 정시를 실시하는 대학들의 70%가 수능 성적으로 선발하기 때문이다. 임성호 하늘교육중앙 대표는 “가채점 결과가 생각보다 좋았다면 지원 횟수가 남아 있더라도 수시 2차는 과감하게 포기하고 정시에 집중하는 게 좋다”며 “중위권 대학들에서 인문계는 국어와 영어를, 자연계는 수학과 영어를 60~70% 이상 반영하고 있다. 특히 이 두 과목 성적이 좋은 중위권 학생은 정시에서 한 단계 높은 대학을 노려볼 만하다”고 말했다.

대부분의 상위권 대학은 정시에서 인문계는 국어B, 수학A, 영어B, 사탐을 반영한다. 자연계는 국어A, 수학B, 영어B, 과탐을 반영한다. 대학마다 수능 영역별 반영 비율은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자신에게 유리한 영역별 조합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서울대는 인문과 자연 모두 국어 25%, 수학 30%, 영어 25%, 탐구 20%로 인문계열도 수학의 비중을 높게 적용한다. 경희대와 서강대 인문계도 수학이 30% 반영돼 국어보다 비중이 크다. 단국대, 서강대, 숭실대, 아주대, 인하대, 한양대 등 일부 대학의 상경계열은 국어보다 수학의 비중이 크다.

수준별 수능이 출제된 올해 수능에서는 인문계·자연계 상위권 수험생이 몰린 영어 B형이 가장 큰 변수가 될 전망이다. 영어 B형 응시자는 44만여명으로, 지난해 외국어영역을 본 66만여명의 3분의1인 22만명가량이 줄어들면서 1등급 인원도 3분의1 감소할 것으로 추산된다.

김용진 동대부고 교사는 “국어는 A·B형에서 모두 고난도 문제가 출제되면서 상위권 학생들의 점수가 확연하게 갈릴 것”이라면서 “다만 영어에서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하기 매우 어려워 영어가 수시 합격을 가르는 데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기한 메가스터디 교육연구소장은 “상위권 학생들은 시험이 어렵게 출제되더라도 시험을 잘 치르기 때문에 문제가 없지만, 영어 B형을 선택했다가 A형으로 이동한 중위권 학생들은 변별력이 사라진 데다가 가산점도 얻을 수 없어 자칫 손해를 볼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영덕 대성학력개발연구소장은 영어 B형을 택한 학생들이 손해를 볼 것이라고 내다봤다. 영어는 190개 대학 중 60여개 대학이 B형을 택하고 나머지 130개 대학이 A·B형을 혼용한다. 그는 “대학에서 A형과 B형을 동시에 반영하는 경우 유불리 문제가 심하게 나타날 것”이라며 “영어 A형과 B형을 동시에 반영하는 대학은 영어 B형에 가산점을 주더라도 A형 응시자들을 역전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용택 광영고 교사는 “올해부터 반영비율이 영역별로 차이가 있어 정시모집이 까다로워졌다”면서 “지난해 성적으로 반영비율을 새롭게 계산해보고 신중하게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영어 B형은 응시자 수가 22만명 정도 줄어들어 지난해보다 등급이 떨어질 수는 있으나 정시 지원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3-11-08 9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