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연구비, 상위 20곳이 3분의2 독식… 서울·연세·고려 順

대학 연구비, 상위 20곳이 3분의2 독식… 서울·연세·고려 順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2-01-09 22:26
업데이트 2022-01-10 03: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간·교내 연구 투자 더 늘어야”

4년제 대학 전체 연구비가 상위 20개 대학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연구재단이 최근 발표한 ‘2021년도 대학연구활동 실태조사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4년제 대학 연구비는 총 7조 1346억원으로 2016년 대비 25.9%(1조 4667억원) 증가했다.

연구비 재원은 중앙정부가 74.4%, 민간이 15.8%, 교내가 5.7% 순이었다. 2016년 4조 2453억원이었던 중앙정부 연구비는 2020년 5조 3053억원으로 5년 동안 1조 600억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민간 연구비는 8211억원에서 1조 1258억원으로 3047억원 늘었다. 교내연구비는 369억원, 지방자치단체는 632억원씩 각각 증가했다.

보고서는 “주요 선진국처럼 대학부분 연구비 비중이 늘어나려면 민간과 교내 연구비 투자가 더 늘어나야 한다”고 지적했다.

상위 20개 대학이 전체 연구비의 63.2%(4조 5117억원)를 받은 것으로 파악됐다. 연구비 비중이 가장 높은 대학은 서울대로, 전체의 8.3%(5922억원)를 차지했다. 이어 연세대 6.3%(4517억원), 고려대 5.9%(4188억원), 한국과학기술원 5.5%(3918억원), 성균관대 5.5%(3911억원) 순이었다.

4년제 대학 전임교원은 7만 4813명으로 전년 대비 1.4% 증가했다. 남성 교원은 5만 5564명으로 74.3%, 여성 교원은 1만 9249명으로 25.7%를 차지했다. 전체 교원 가운데 이공분야가 4만 2145명으로 56.3%, 인문사회분야가 3만 2668명으로 43.6%였다. 이공 분야 1인당 평균 연구비는 1억 5209만원, 인문사회는 2218만원이었다.

김기중 기자
2022-01-10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