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형 당뇨병, 인슐린 저항성 확인후 투약 여부 결정을

제2형 당뇨병, 인슐린 저항성 확인후 투약 여부 결정을

입력 2011-05-23 00:00
수정 2011-05-23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국내 당뇨병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제2형 당뇨병의 경우 인슐린 저항성 여부를 확인한 뒤에 인슐린 투여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치료 전 인슐린 분비 능력과 함께 인슐린은 정상적으로 분비되지만 특정 원인에 의해 기능이 저하된 이른바 ‘인슐린 저항성’을 먼저 평가해 인슐린이 정상적으로 분비되지 않는 경우에만 인슐린을 투여해야 한다는 것이다.



허갑범(허내과 원장) 연세대명예교수와 연세대의대 이현철 교수팀(이은영·최영주)은 2003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서울 허내과에 내원한 692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전체의 73.1%인 5065명에서 인슐린저항성이 진단됐다고 최근 밝혔다. 이는 국내 2형 당뇨병환자 10명 중 7명이 인슐린은 제대로 분비되나 제 기능을 못한다는 뜻이다. 또 이들 중 절반이 넘는 51.9%(2629명)는 대사증후군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대사증후군은 당뇨병·고혈압·심뇌혈관질환 등 만성질환의 전조 질환으로, 내장지방 축적으로 허리 둘레(남성 90㎝, 여성 80㎝ 이상)가 정상치를 넘고, 고혈압과 당뇨병 직전의 경계혈당, 그리고 이상지혈증을 동반하는 등의 증상을 보인다.

그런가 하면 환자들은 경동맥경화증(20.7%)·고혈압(34.5%)·허혈성 심질환(1.2%)·이상지혈증(16.6%)·지방간(58.8%)·대사증후군(46.9%) 등을 동반했다. 이를 다시 인슐린저항성 유무로 구분한 결과 경동맥경화증과 고혈압은 각각 22.2대77.8, 허혈성심질환은 18.8대81.2, 이상지혈증은 20.4대79.6, 지방간은 19.5대80.5, 대사증후군은 19대81로, 인슐린저항성이 있을 때 동반질환 보유비가 각각 4배 이상 높았다.

특히 인슐린저항성이 있는 2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 인슐린을 투여했을 때 혈당 조절이 더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인슐린저항성이 있는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경동맥이 더 두꺼웠고, 경동맥경화증과 고혈압 등 동반질환의 유병률도 높았다.

허갑법 박사는 “국내 2형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와 인슐린저항성의 유무에 따라 임상 및 생화학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의사들이 당뇨병 환자들을 관리할 때 인슐린저항성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혈당이 높다고 함부로 인슐린을 사용하는 것은 환자에게 다른 동반질환을 증가시키거나 동반질환으로 인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국내 2형 당뇨병 환자들의 특성을 규명,거기에 걸맞은 진료지침을 만드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말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1-05-23 25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