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집단 식성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집단 식성

입력 2012-03-12 00:00
업데이트 2012-03-1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 요리는 정말 다양합니다. 중국에 가 보면 종류도 많고, 요리법도 각각입니다. 오죽하면 ‘책상다리 말고는 모든 것이 요리재료’라고 하겠습니까. 음식이야 문화를 반영하는 것이고, 취향도 사람마다 다르니 그것을 두고 우열을 논할 수는 없습니다. 그런 점에 비추면 우리의 음식문화는 단촐한 편입니다. 하기야 땅 좁고, 사람 그다지 많지 않은 나라에서 중국처럼 다양한 음식문화가 생성됐다면 그게 더 이상하겠지요.

그런 우리의 음식문화를 가만 들여다보면 우리만의 ‘집단 식성’이 드러납니다. 가장 두드러지는 특성이 아마도 단백질 탐닉이 아닐까 합니다. 곡류와 채소를 주식으로 살아온 농경민족이 항상 단백질을 향수했던 것은 당연한 일이었겠지요. 그것은 기호의 문제가 아니라 생존, 즉 종의 보전과 밀접한 상관성을 가진 문제였으니까요. 우리의 집단 식성은 그렇게 문화화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렇더라도 그런 문화가 항상 정당성을 갖는 것은 아닙니다. 예전에는 그럴 수 있었던 일이 이제는 금기시되기도 합니다. 대표적인 사례가 뱀탕 아닐까 싶습니다. 뱀탕이 보양식이라며 아예 뱀의 씨를 말리려 듭니다. 세상에 뱀 잡겠다고 그물질하는 나라가 또 있을까요. 뱀뿐 아닙니다. 산야 곳곳에 올무나 덫이 숨어있고, 총 든 무법자도 많습니다. 이들은 종을 가리지 않고 해치웁니다. 오소리, 너구리, 족제비나 노루 등속은 물론 생태복원하겠다며 방사한 반달곰까지 노립니다. 하는 짓을 보면 아마존이나 아프리카에서 장사꾼들이 자행하는 밀렵 못지않습니다.

이런 난행의 이유는 간단합니다. 돈이 되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포획한 야생동물을 먹어치울 누군가가 있다는 뜻이지요. 모르긴 해도 십중팔구는 보양용일 텐데, 참 기괴합니다. 정력이 필요하면 세끼 밥 잘 챙겨먹고, 적당하게 운동을 하면 될 일이고, 신병이 있다면 병원을 찾으면 될 일을 범법 부담까지 져가며 한사코 야생동물을 잡아 과 먹고 구워먹는 몬도가네식 취향에 집착하는 이유를 알 수가 없습니다. 이제 이만큼 살면 옛적 주려서 픽픽 나자빠지던 시절의 그 황당한 집단 식성은 버려야 하지 않겠습니까.

jeshim@seoul.co.kr



2012-03-12 24면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