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신마비 환자의 ‘생각’ 빠르고 정확하게 글로 바꾼다

전신마비 환자의 ‘생각’ 빠르고 정확하게 글로 바꾼다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23-08-24 02:26
수정 2023-08-24 02: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미국·국제 연구팀 2곳 연구 결과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진전

이미지 확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은 뇌파를 이용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는 기술이다. 뇌의 정보 처리 결과를 컴퓨터로 바로 출력할 수 있는 BCI 기술은 전신 또는 부분 마비 환자들의 활동에 도움을 준다.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칼텍) 제공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은 뇌파를 이용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해 주는 기술이다. 뇌의 정보 처리 결과를 컴퓨터로 바로 출력할 수 있는 BCI 기술은 전신 또는 부분 마비 환자들의 활동에 도움을 준다.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칼텍) 제공
공상과학(SF) 영화 ‘아바타’에는 부상으로 인해 다리를 움직이지 못하는 군인이 가상현실(VR)과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을 이용해 뇌와 연결된 또 다른 자아를 움직이는 모습이 나온다. 영화 ‘매트릭스’나 ‘엑스맨’에도 BCI를 활용해 만든 가상 세계가 등장한다.

재활의학자, 신경과학자, 전기·전자공학자로 구성된 연구팀이 BCI를 활용해 뇌 활동을 빠르고 정확하게 음성 및 문자로 전환해 주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미지 확대
영화 ‘아바타’는 BCI 기술을 소재로 활용했다. 20세기 스튜디오 제공 제공
영화 ‘아바타’는 BCI 기술을 소재로 활용했다.
20세기 스튜디오 제공 제공
이미지 확대
영화 ‘엑스맨’은 BCI 기술을 소재로 활용했다. 서울신문 DB
영화 ‘엑스맨’은 BCI 기술을 소재로 활용했다.
서울신문 DB
이번 연구 결과는 과학 저널 ‘네이처’ 8월 24일자에 2편의 논문으로 실렸다. 한 편은 미국 스탠퍼드대, 하워드 휴스 의학연구소, 세인트루이스 워싱턴대, 브라운대, 하버드대,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공동연구팀이, 다른 한 편은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대(UCSF) 의대, UC버클리, 영국 재활 의료 기업 스피치 그래픽스 공동연구팀이 진행한 것이다.

전신 마비는 낙상, 충돌 사고 등에 따른 외상이나 척수 종양, 척수염 등의 질병으로 척수가 손상돼 뇌와 척수 간 신호 전달이 끊기면서 발생하는 증상이다. 환자들은 근육 마비로 인해 언어 능력까지 상실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과학자들은 전신 마비 환자의 운동 능력이나 의사소통을 위한 다양한 기술 개발에 나서고 있다. SF물에서처럼 생각만으로 의사소통하고 사물을 움직이는 BCI 기술이 대표적이다. 그동안 여러 기술이 나와 환자의 뇌 활동에서 음성 정보를 해독하는 일은 가능하지만 속도나 정확성이 떨어지고 사용 어휘가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었다.

스탠퍼드대가 주도한 연구팀은 뇌에 미세 전극을 삽입해 단일 뇌세포의 신경 활동을 수집하고 인공 신경망을 훈련해 환자의 생각을 빠르고 정확하게 컴퓨터 화면에 띄울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루게릭병으로 알려진 근위축성 측색경화증을 앓는 환자에게 이 기술을 적용했다. 그 결과 분당 62단어의 속도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일반인의 대화 속도인 분당 약 160단어와는 여전히 차이를 보이지만 이전에 나온 유사한 기술들보다 3.4배 빠른 속도다. 또 단어 오류 정도는 9.1%로, 해독된 50단어 중 3~4단어만 잘못 표시된 수준이다.
이미지 확대
미국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대(UCSF) 연구팀이 중증 마비 환자의 두피에 미세 침이 부착된 전극을 꽂아 뇌파를 분석해 화면에 글과 아바타로 표시해 주는 실험을 하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대 제공
미국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대(UCSF) 연구팀이 중증 마비 환자의 두피에 미세 침이 부착된 전극을 꽂아 뇌파를 분석해 화면에 글과 아바타로 표시해 주는 실험을 하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대 제공
UCSF 과학자들이 이끈 연구팀은 미세 침이 부착된 전극을 두피에 꽂아 뇌 언어 피질 전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했다. 이들이 만든 BCI 기술은 뇌 신호를 해독해 텍스트, 음성, 아바타 세 가지 형태로 보여 준다는 점에서 이전 연구와 차이가 있다.

연구팀은 뇌간 뇌졸중으로 인한 중증 마비 환자에게서 수집한 신경 데이터를 해독한 뒤 인공지능(AI)을 심층학습 모델로 훈련했다.

그 결과 뇌 신호를 분당 평균 78개 단어로 바꿨다. 이는 스탠퍼드대 기술보다도 빨라 자연스러운 대화 속도에 훨씬 가깝다. 1000개 이상 단어가 포함된 문장으로 뇌 신호를 전환할 때 오류 발생률은 25%에 이르렀으며 3만 9000개 이상 단어가 포함된 문장에서는 28%로 나타났다. 속도에 비해 정확도가 다소 떨어졌다. 그렇지만 이 기술은 환자의 뇌파를 비언어적 표정까지 반영하는 아바타로 나타내 훨씬 자연스럽게 의사소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뇌 과학자인 니컬러스 램지 네덜란드 위트레흐트대 의대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신경 손상과 질환으로 인한 전신 또는 부분 마비로 목소리를 잃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2023-08-24 2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남북 2국가론’ 당신의 생각은?
임종석 전 대통령실 비서실장이 최근 ‘남북통일을 유보하고 2개 국가를 수용하자’는 내용의 ‘남북 2국가론’을 제안해 정치권과 학계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반헌법적 발상이다
논의할 필요가 있다
잘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