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가격 4분기에도 추가 하락”

“반도체 가격 4분기에도 추가 하락”

입력 2010-09-26 00:00
업데이트 2010-09-26 09: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D램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반도체의 가격 하락세가 4분기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돼 세계 메모리반도체 업계를 선도하고 있는 삼성전자와 하이닉스에 비상이 걸렸다.

26일 시장조사기관 디스플레이서치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이후 하락세로 돌아선 메모리반도체의 가격이 전통적 성수기인 4분기에도 약세를 면치 못하면서 제품에 따라 6~22%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삼성전자의 대표 상품인 1Gb(기가비트) DDR3 D램의 경우 지난 2분기에 2.81달러까지 올랐으나 이후 하락세로 돌아서 3분기에는 2.44달러로 떨어진 데 이어 4분기에는 전분기보다 22%나 급락한 1.9달러까지 떨어지면서 2달러대가 붕괴될 것으로 관측됐다.

1Gb DDR2 D램도 2분기에는 2.50달러였던 것이 3분기에는 2.1달러(-18%)로 떨어졌다가 4분기에는 1.6달러(-22%)까지 급락할 것으로 디스플레이서치는 내다봤다.

삼성전자의 또 다른 주력상품인 16Gb 낸드플래시메모리도 올 초 4.42달러였으나 3분기에는 4.3달러로 소폭 하락했으며 4분기에는 전분기 대비 8% 떨어진 3.9달러대에 거래될 것으로 전망됐다.

업계 전문가들은 지난해 상반기까지 지속됐던 세계 반도체 업체의 ‘치킨게임’이 마무리된 이후 메모리반도체 가격이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으나 올 2분기 이후부터 또다시 수요부진에 따른 공급과잉 조짐을 보이면서 가격이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업계 관계자는 “유럽 금융위기 등의 영향으로 메모리반도체가 주로 사용되는 PC 수요가 예상보다 부진해 공급과잉 조짐을 보이면서 반도체 가격이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면서 “메모리반도체를 ‘캐시카우’로 삼고 있는 삼성전자와 하이닉스 등의 하반기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