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선·종이 없앤 ‘스마트 인재개발원’

유선·종이 없앤 ‘스마트 인재개발원’

입력 2012-05-10 00:00
업데이트 2012-05-1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세계 20년만에 리모델링 개원

“집보다 더 좋은 공간으로 만들고 싶었습니다.”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이 1년간의 재단장 공사를 끝내고 9일 다시 문을 연 신세계 인재개발원에 대해 이같이 소감을 밝혔다.

이미지 확대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이 9일 다시 문을 연 신세계 인재개발원에서 수석 부장 승격자 30여명을 대상으로 ‘소통’을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신세계그룹 제공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이 9일 다시 문을 연 신세계 인재개발원에서 수석 부장 승격자 30여명을 대상으로 ‘소통’을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신세계그룹 제공
이날 오전 10시 30분부터 수석 부장 승격자 30여명을 대상으로 강연을 진행한 그는 “(인재개발원이)꼭 교육을 받으러 오고 싶은 공간이 됐으면 한다.”고 바람을 나타냈다.

1993년 경기도 용인시에 처음 문을 연 신세계 인재개발원은 20년 만에 공사에 들어가 지상 3층, 지하 1층 규모로 16개 강의실과 81개의 숙소를 갖춘 최첨단 시설로 거듭났다.

이를 위해 들인 돈만 무려 320억원. 새로 건물을 하나 지어도 될 정도다. 이 같은 투자는 “유통업은 사람이 곧 설비이고, 사람에게 쓰는 돈이야말로 투자”라고 한 정 부회장의 평소 소신을 반영한 것이다.

새로 문을 연 인재개발원은 최첨단 정보기술(IT) 시스템과 호텔 뺨칠 만한 고급 시설이 돋보인다. 2인 1실의 숙소는 호텔에 맞먹으며, 타월·세안용품 등 비치품도 고급화했다. 또 2개층 높이의 거실에 해당할 만한 넉넉한 라운지를 숙소 4개당 1개씩 설치, 임직원들의 편안한 휴식과 자유로운 토론이 가능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카페테리아, 피트니스센터, 골프존 등 편의시설도 갖췄다.

이날 정 부회장의 강연 주제는 ‘소통’. 그는 “유연하고 창조적인 기업문화를 만들어나가자.”고 참석자들에게 독려했다.

자유롭고 원활한 소통에 중점을 두고 재단장된 인재개발원의 큰 특징은 ‘유선과 종이를 없앤’(wireless and paperless) 스마트 교육환경을 구축한 점. 와이파이 환경으로 노트북을 가지고 건물 어디에서나 학습이 가능하며,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을 도입해 작은 아이디어라도 PDF파일로 변환, 개인별 서버에 저장해 언제든지 찾아볼 수 있게 했다. 교육 중 전자칠판에 기록된 내용이 실시간 개인별 노트북에 확인·저장, 필기할 필요도 없다.

박상숙기자 alex@seoul.co.kr

2012-05-10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