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55인치 꿈의 OLED TV 세계 첫 공개

삼성, 55인치 꿈의 OLED TV 세계 첫 공개

입력 2012-05-11 00:00
업데이트 2012-05-11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명암비 무한대급… 차세대 TV 하반기 출시

삼성전자가 10일 세계 처음으로 55인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 양산 모델을 공개했다. OLED TV는 올해 하반기에 출시될 예정이며 가격은 1000만원이 넘을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폰에 쓰인 최고 화질 화면을 대형화한 것이다. 삼성전자는 서울 서초동 삼성전자 사옥에서 ‘2012년 삼성 프리미엄 TV 쇼케이스’를 갖고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국제전자제품전시회(CES) 2012’에서 최고 혁신상을 받은 프리미엄 전략 제품을 소개했다.
이미지 확대
10일 서울 서초동 삼성전자 서초 사옥에서 열린 ‘2012 삼성 프리미엄 TV 쇼케이스’에서 김현석(오른쪽)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 사업부 부사장이 55인치 대형 OLED TV를 소개하고 있다. 뉴시스
10일 서울 서초동 삼성전자 서초 사옥에서 열린 ‘2012 삼성 프리미엄 TV 쇼케이스’에서 김현석(오른쪽)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 사업부 부사장이 55인치 대형 OLED TV를 소개하고 있다.
뉴시스
OLED TV는 픽셀이 스스로 빛을 내며 각각의 색을 만들어 기존 발광다이오드(LED) TV보다 20% 이상 풍부한 색감으로 자연 그대로의 생생한 색을 표현할 수 있다. 응답 속도도 빨라 스포츠 영상에서도 화면의 끌림 현상 없이 선명한 화질을 즐길 수 있다. ‘꿈의 TV’로도 불리는 OLED TV는 현재 세계 TV 시장을 석권한 삼성과 LG 등 국내 업체들이 차세대 주력 제품으로 채택하면서 시장 점유율이 빠르게 늘어날 전망이다.

●‘이어폰 안경’으로 스테레오 구현

특히 이번에 공개한 삼성의 OLED TV(모델명 ES9500)는 화면을 구성하는 픽셀 하나하나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어 무한대에 가까운 명암비로 어두운 화면에서도 세밀한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여기에 고화질(3D) 입체 영상을 구현할 때도 화면 겹침 없이 실제감이 있는 영상을 제공한다. 기존의 스마트 TV에서는 볼 수 없던 ‘스마트 듀얼뷰’ 기능도 선보였다. 3D 안경을 쓰면 화면 분할 없이도 한 대의 TV에서 두 개 채널을 동시에 풀 HD로 시청할 수 있다. 이어폰이 달린 안경을 통해 스테레오 사운드도 즐길 수 있다.

이와 함께 별도의 카드만 갈아끼우면 TV의 성능이 업그레이드되는 ‘스마트 에볼루션’ 등 다양한 첨단 기능이 모두 탑재됐다. 전면부 또한 시청 때 화면 몰입감을 극대화하기 위해 불필요한 요소를 제거해 ‘미니멀리즘’(극도로 단순하고 간결하게 표현하는 것)을 형상화했다.

●값 LED TV 2배… 1000만원 이상

다만 삼성전자는 OLED TV의 구체적인 출시시기를 ‘하반기’라고만 밝혔을 뿐 정확한 시점은 못 박지 않았다. 제품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OLED 패널의 양산이 생각보다 더뎌지고 있어서다. 삼성이 내부 목표로 삼았던 ‘런던 올림픽(7월) 이전 출시’를 지키지 못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가격 또한 지난 1월 CES에서 “1000만원 이하로 책정하겠다.”는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김현석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부사장은 “가격은 같은 크기 LED TV 최상위등급 제품의 두 배 이상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55인치 LED TV의 최고 등급 가격이 540만원 정도인 만큼 OLED TV는 1100만원 이상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김 부사장은 제품 가격이 700만~800만원대로 내려오는 시점에 대해서는 “프리미엄 제품이기 때문에 최소한 2~3년 정도는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고 답했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12-05-11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