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發 금융위기 오나] 한은 “가계부채·부동산시장 침체, 유럽 재정위기보다 위험”

[부동산發 금융위기 오나] 한은 “가계부채·부동산시장 침체, 유럽 재정위기보다 위험”

입력 2012-08-02 00:00
업데이트 2012-08-02 01: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금융시스템 위협 요소’ 설문

국내 금융 전문가들은 가계부채와 부동산 시장 침체가 유럽의 재정위기보다 국내 금융시장에 미칠 충격이 더 크다고 보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이 1일 발표한 ‘시스템적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금융 전문가들은 가계부채와 부동산 시장 침체가 향후 1~3년 안에 국내 금융시스템을 위협할 요소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는 한은이 지난달 63개 금융기관의 경영전략 및 리스크 담당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시스템적 리스크란 금융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즉 금융기관이 스스로 자금을 조달해 가계와 기업에 빌려주는 자금 중개 기능을 상실하고, 1997년 외환위기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처럼 환율, 주가, 금리 등 각종 변수가 요동치며 실물경제에 심각한 파급 효과를 미치는 상황이다.

●은행권 전문가 “EU·中 불안이 걸림돌”

전문가들은 금융 시스템의 가장 큰 위험으로 유럽 국가 채무위기 심화(91.9%·복수응답)를 꼽았다. 이어 가계부채 문제(89.2%), 부동산시장 침체(73.0%)가 뒤를 이었다. 이 두 문제는 올해 상반기 조사에서는 각각 67.6%, 24.3%에 불과했다.

한은은 “전문가들이 유럽 국가 채무위기는 발생 확률은 높지만 영향력은 중간이라고 답했다.”면서 “그러나 ‘가계부채 문제’와 ‘부동산시장 침체’는 발생 확률도 높고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력도 높다고 대답했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전문가들은 중국경제 경착륙(64.9%)과 미국경기회복 지연(37.8%)을 금융시장의 핵심 위험으로 꼽았다.

응답 주체별로 보면 은행에 속한 전문가들은 가장 큰 위험으로 유럽 국가채무위기와 중국경제 경착륙 등 거시적인 문제를 들었으나 비은행권 전문가들은 가계부채 문제를 가장 큰 위험으로 인식했다. 이는 비은행권이 은행보다 취약계층의 가계대출을 주로 취급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비은행권 “가계부채가 가장 큰 문제”

다만 전문가의 39.2%는 앞으로 3년간 금융시스템 안정성이 높을 것이라고 답해 국내 금융시스템이 크게 흔들리지는 않을 것으로 봤다. ‘6개월 전과 비교해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졌느냐’는 질문에는 ‘변하지 않았다’는 답이 대부분(68.9%)이었지만 ‘낮아졌다’(17.6%)가 ‘높아졌다’(13.5%)보다 소폭 많았다.

김용선 한은 조기경보팀장은 “중앙은행 차원에서 시장 참가자들이 어떤 위험을 우선순위로 두고 있는지 확인했다.”면서 “이를 참고해 앞으로 발간할 금융안정보고서에서 대책을 내놓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달란기자 dallan@seoul.co.kr

2012-08-02 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