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74% 등록금 카드 결제 거부

대학 74% 등록금 카드 결제 거부

입력 2012-08-06 00:00
업데이트 2012-08-06 04: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카드사ㆍ대학 수수료 갈등에 학생만 피해

극심한 경기 침체로 서민 가계가 흔들리고 있는데도 국내 대학들은 10곳 중 7∼8곳이 등록금의 신용카드 결제를 거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록금 일부를 카드사에 수수료로 줘야 하는 부담을 피하려는 속셈에서다.

이 때문에 400만∼500만원의 목돈을 한꺼번에 마련하지 못해 학업을 중단해야 하는 학생들의 고충을 대학들이 외면한 채 잇속 챙기기에 급급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6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전국 410여개 대학 가운데 올해 2학기 등록금을 카드로 받는 곳은 108곳으로 전체의 26.3%에 그쳤다.

지난해 58곳보다는 많이 늘었으나 등록금 카드 납부를 전면 확대하겠다던 정부 목표치에는 아직 한참 모자란다.

대다수 학부모와 학생은 대학 등록금의 카드 납부를 선호한다. 경제난 악화로 한꺼번에 큰돈을 마련하기가 더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카드로 결제하면 3∼12개월까지 할부로 낼 수 있어 학비 부담을 덜 수 있다.

그럼에도 대학등록금을 카드로 결제하는 데는 벽이 높다.

국내 상위권 대학 중에서는 고려대와 한양대는 카드 결제가 안된다. 한양대 관계자는 “현재 대학등록금을 카드로 받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 카드업계 1위인 신한카드로 대학 등록금을 결제할 수 있는 대학은 8곳에 불과하다. 서울대, 충북대, 청주교대, 안동대, 목포대, 강원대 정도다.

신한카드 관계자는 “일부 대학이 너무 낮은 수수료를 요구해 역마진이 생기지 않는 범위에서 계약하다 보니 대학등록금의 카드 납부를 확대하는데 고충이 있다”고 말했다.

현대카드로 등록금을 결제할 수 있는 대학은 중앙대, 방송통신대 등 5곳, 롯데카드로는 서울예대, 군장대 등 4곳에 그친다. 하나SK카드도 충남대, 부산대 등 8곳에만 통한다.

비씨카드와 삼성카드, KB국민카드가 그나마 활용 범위가 넓으나 카드 납부를 원하는 대학생 수요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비씨카드로는 연세대, 부산대 등 38곳에서 결제할 수 있다. 삼성카드는 지난해 건국대, 성균관대 등 26곳에서 올해는 순천향대, 서울예대, 한세대 등 12곳을 추가했다. KB국민카드도 지난해 동국대 등 21곳에서 올해 이화여대, 극동대, 군산대 등 18곳을 늘렸다.

KB국민카드는 3개월 무이자 또는 6개월 할부 때 2회차부터 무이자 등 판촉 행사를 하고 있어 등록금 부담이 큰 학부모에게 호응을 얻은 것으로 알려졌다.

1만원 이하 소액까지 카드 결제가 일상화한 상황에서 대학 등록금만 문턱이 높은 것은 카드사와 대학 수수료를 둘러싼 갈등 때문이다.

카드사는 매출 확대 차원에서 일반 가맹점에 매기는 수수료율인 2∼3%보다 낮은 1%대를 대학에 등록금 수수료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들은 연간 수천억 원의 등록금을 카드로 받으면 수십억 원을 수수료로 내야 하므로 현금 납부에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대학으로서는 등록금을 현금으로 받는 게 유리하므로 카드사가 요청해도 협상에 좀처럼 응하려 하지 않는다”면서 “그래도 카드 결제가 보편화하면서 등록금 카드 결제가 조금씩 느는 추세다”고 말했다.

대학등록금 카드 납부와 관련해 학부모의 항의가 거세짐에 따라 정치권도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새누리당 홍지만 의원은 등록금 납부 방법에 신용카드에 의한 12개월 분할 납부 방법을 포함한 ‘고등 교육법 개정안’을 최근 제출했다. 이 법안에는 신용카드에 의한 등록금 납부로 발생하는 가맹점 수수료 등을 등록금 납부자인 학생 등에 부담시킬 수 없도록 하는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