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소비성향 최저…무상복지ㆍ경기침체 때문

가계 소비성향 최저…무상복지ㆍ경기침체 때문

입력 2012-08-17 00:00
업데이트 2012-08-17 13: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분기 소득 6.2%↑ 소비 3.6%↑…적자가구율 최저

가계 소비성향이 역대 최저치로 나타났다. 소득이 6% 이상 늘었는데도 소비 증가율은 4%에도 못 미쳤다.

‘만5세 누리과정’ 도입과 무상보육 확대로 인한 정책 효과가 컸지만 경기 침체로 소비심리가 움츠러든 영향도 있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17일 통계청이 발표한 2분기 가계동향을 보면 전국 2인 이상 가구당 월평균 명목소득은 394만2천원으로 작년 2분기보다 6.2% 늘었다. 11분기(2년9개월)째 증가세다.

명목 소비지출은 238만6천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로 13분기(3년3개월)째 늘었으나 증가율은 3.6%에 그쳤다.

물가상승분을 제외한 실질 기준으로는 소득이 3.7%, 소비가 1.1% 늘었다.

다만, 실질소득 증가율은 전분기보다 둔화했다.

비소비지출은 72만3천원으로 3.2% 늘었다. 이 가운데 이자비용이 월평균 9만5천원으로 10.1%나 증가했다. 가계대출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소득과 취업자가 늘어난 영향으로 경상조세(8.8%), 연금(7.7%), 사회보험(6.5%)도 많이 늘었다.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 가능소득은 월 321만9천원으로 6.8% 증가했다.

흑자액(처분가능소득-소비지출)은 83만3천원으로 17.5%나 늘었다.

저축능력을 보여주는 흑자율(흑자액/처분가능소득)은 25.9%, 평균소비성향(소비지출/처분가능소득)은 74.1%로 각각 2.3%포인트씩 오르고 내렸다. 해당 통계를 전국 단위로 낸 2003년 이후 역대 최고치와 최저치다.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빼고 남은 돈이 1천원이라면 741원만 썼다는 의미다.

종전 평균소비성향 최저치는 세계 금융위기 직후인 2008년 4분기의 74.6%였다.

이에 따라 적자가구 비율은 23.5%로 역대 최저치로 떨어졌다. 특히 소득하위 20%인 1분위는 51.9%로 작년 2분기보다 2.1%포인트나 하락했다.

항목별 소비지출을 보면 의류ㆍ신발(9.3%), 보건(7.0%), 주류ㆍ담배(5.3%), 통신(9.3%), 오락ㆍ문화(6.8%), 음식ㆍ숙박(6.2%) 등에서 늘었다. 통신비 중에서는 스마트폰 보편화로 통신장비(145.4%) 비용이 급증했고 통신서비스(7.0%)도 늘었다.

교육(0.2%)은 정규교육(-11.0%) 지출 감소로 제자리걸음을 했고 복지시설(-41.4%)이 포함된 기타상품ㆍ서비스(-1.2%) 지출은 감소했다.

정규교육에는 만5세 누리과정이 시행된 유치원 교습료가, 복지시설에는 무상보육이 확대된 어린이집 보육료가 포함됐다는 점에서 무상 복지를 늘린 정책이 소비지출 둔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식료품ㆍ비주류음료에 대한 지출이 명목으로 1.8% 늘었으나 실질로는 3.7%나 감소했고, 가전ㆍ가정용기기(-10.2%) 등 내구재 소비의 감소율이 커진 점은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보인다.

소득 5분위별로는 소득이 하위 40%에서 7.4~10.1% 늘어난 것을 비롯해 모든 계층에서 늘었으나 소비지출은 중산층인 3분위(-0.1%)만 감소했다.

소득 격차를 보여주는 소득 5분위 배율(균등화 가처분소득 기준)은 5분위가 1분위 소득의 4.76배로 떨어져 역대 최저치를 나타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