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 들어온 일본 돈 20조원 육박

한국에 들어온 일본 돈 20조원 육박

입력 2012-08-21 00:00
업데이트 2012-08-21 1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무라이본드 잔액 11조원…매년 급증세日투자자 3천300여명…재일교포 등 개인 다수

한국에 들어온 일본 자금이 18조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경제 보복 이야기가 나오지만 정치보다는 경제 논리를 좇아 유입된 자금이어서 쉽게 유출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양국 갈등은 중장기적으로 한국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1일 금융감독원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17일 기준으로 일본에서 유입된 투자 자금이 18조1천423억원으로 추정됐다.

일본인 투자자의 상장주식 보유액이 6조7천561억원, 상장채권 보유액이 5천66억원이다. 일본인들의 한국에 대한 직접투자(FDI) 금액은 1~7월 30억달러로 주식 보유액에 포함돼 있다.

또 국내 기업들이 사무라이본드(사모 제외)를 통해 일본에서 끌어들인 자금은 잔액 기준으로 7천621억엔으로 추정됐다. 이 금액은 전날 원ㆍ엔 환율 100엔당 1,427.58원을 적용하면 10조8천796억원에 이른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사무라이본드의 만기가 보통 2년, 3년이 많은데 발행액에서 상환액을 빼면 7천억엔이 넘는 수준이다”고 설명했다.

일본인 투자자는 재일교포 등 개인이 많다.

일본인 투자자는 7월 말 현재 3천361명으로 전체 외국인 투자자(3만4천939명)의 9.6% 수준이다.

외국인의 주식ㆍ채권 보유액(483조3천450억원) 중 일본인 자금이 1.5%인 7조원 수준인 것을 고려하면 금액에 비해 투자자 숫자가 월등히 많다.

외국인 투자자 중 9.6%를 차지하는 일본인이 주식ㆍ채권의 1.5%만 보유하고 있는 셈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일본인의 주식, 채권 보유금액에 비해 투자자가 많은 것은 재일교포 등 개인 자금이 많기 때문”이라며 “이런 이유 등으로 이탈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말했다.

사무라이본드는 유럽 재정위기가 커지며 인기가 급상승했다.

발행액이 2010년 1천713억엔에서 작년 3천701억엔으로 늘어났고 올해도 최근까지 발행액이 약 2천700억엔으로 작년 전체 발행액(3천701억엔)의 72.9%에 도달했다.

수출입은행이 5월 아시아기관으로는 역대 최고 액수인 1천억엔 규모의 사무라이본드를 발행했고 지난달에는 신한은행(350억엔), 우리은행(200억엔), 부산은행(247억엔), 하나은행(300억엔) 등이 사무라이본드 발행에 성공했다.

사무라이본드는 외국계 기관이 일본 자본시장에서 엔화 표시로 발행하는 채권이다.

아직 독도를 둘러싼 한일 간의 정치적 갈등이 양국 경제 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 일본의 한국 투자는 엔화 초강세 영향이 크고 사무라이본드 발행도 유럽 재정위기 속에서도 한국의 펀더멘털(기초여건)이 상대적으로 양호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독도 문제가 단시일 내 해결될 사안이 아니어서 경제적 파장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적지 안다.

삼성경제연구소 민승규 경제정책실장은 “한일 양 국민간의 신뢰가 저하되면 장기적으로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