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침체, 저축은행에 직격탄…추가 퇴출 우려

부동산침체, 저축은행에 직격탄…추가 퇴출 우려

입력 2012-08-26 00:00
수정 2012-08-26 10: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6월 결산법인인 저축은행들이 대규모 적자상태에 빠진 것은 이미지가 추락한 상태에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이 여전히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건설경기 침체로 부동산 PF 부실이 더욱 커져 2011회계연도(2011년 7월~2012년 6월) 3분기 누적 수익 기준으로 저축은행 89곳 중 48.3%인 43곳이 적자를 냈다. 특히 수도권 대형 저축은행들의 PF 대출 연체율이 50%를 넘나들어 상황이 좋지 않다.

상대적으로 소액금융에 집중한 지방 저축은행들은 선전했다.

일부 저축은행은 자산건전성 지표인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지난해보다 악화해 연내 추가 퇴출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 부동산 PF 여파로 대규모 적자 사태

26일 금융감독원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저축은행들은 부동산 경기가 호황이던 2006년부터 부동산 PF 대출 채권을 대규모로 발행하기 시작해 2010년 한때 그 규모가 13조원에 육박했다.

그러나 부동산 경기 침체와 함께 지난해 저축은행 20곳이 퇴출당하면서 각 은행은 PF 대출을 대폭 줄였다.

저축은행들이 서둘러 부실이 우려되는 부동산 PF 대출 채권을 매각하고 취급을 자제했지만 그 여파는 이어지고 있다.

지난 5월 영업정지를 맞기 전까지 1~3분기 2천881억원 적자를 본 솔로몬저축은행은 3분기 PF 대출 규모가 4천721억에 이르고 연체율은 56.4%에 달했다. 반면 연체율이 9.17%로 비교적 낮은 소액신용대출의 액수는 769억원에 머물렀다.

진흥저축은행의 PF 대출 연체율은 59.1%, 연체액은 1천238억원이었고 경기저축은행도 PF 대출 연체율과 연체액이 각각 52.4%, 1천211억원이었다.

대규모 저축은행들의 PF 연체율이 50% 이상을 기록하면서 부실은 더욱 커지고 있다.

3분기까지 155억원의 적자를 낸 현대스위스저축은행 관계자는 “부동산 경기 침체가 계속되면서 부실 채권이 늘어나 큰 타격을 입었다”며 “부동산 문제가 가계부채와 맞물려 한동안 상황이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현대스위스저축은행은 자회사인 3·4 은행을 매각해 자본을 확충하고 부동산 PF보다는 소액대출·기업금융에 집중하고 있다.

동양증권 성병수 연구원은 “건설경기가 아직 좋지 않고 분양률도 떨어지기 때문에 ‘PF 대출 대란’이 끝났다고 볼 수 없다”며 “PF 대출 연체 기간이 길어지면서 망하는 저축은행들이 또다시 나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반면, 적극적으로 PF 대출에 뛰어들지 않았던 저축은행들은 상대적으로 선전했다. 저축은행 가운데 3분기까지 335억원의 최대 흑자를 낸 HK저축은행은 부동산 PF 대신 소액금융 영업에 집중했다.

HK저축은행 구영우 부행장은 “이번에 사상 최대 실적을 올릴 것”이라며 “PF를 안 하고 아파트 담보대출과 소액금융 위주의 독자적 모델로 운영했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부동산경기 장기침체 등으로 저축은행이 전반적으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도 “정상 영업 중인 저축은행으로 보면 적극적인 자구노력으로 영업실적이 개선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 소액금융 집중한 지방은행 ‘선전’

서울지역 저축은행 21곳 중 절반이 넘는 13곳(61.9%)이 3분기까지 적자를 기록한 데 비해 지방 저축은행들의 재무상태는 비교적 안정적이다.

대규모 부동산 PF 대출보다는 서민금융에 집중했기 때문이다.

서울 소재 저축은행 가운데 3분기까지 가장 큰 순손실을 기록한 것은 솔로몬저축은행으로 그 규모가 2천881억원이다.

이어 한국(-2천293억원), 진흥(-1천735억원), 서울(-416억원), 현대(-409억원), 현대스위스2(-278억원) 등 규모가 비교적 큰 저축은행들이 무더기 적자를 냈다.

나머지 지방 저축은행은 68곳 중 29곳이 적자를 보여 서울보다 양호했다.

지방 저축은행 중 가장 큰 적자를 낸 것은 부산의 토마토2저축은행으로, 3분기까지 1천431억원의 순손실을 나타냈다. 그 외에는 적자 규모가 1천억원이 넘는 곳이 없다.

골든브릿지저축은행이 2천500만원의 순익을 거두는 등 저축은행 다수가 3분기까지 소규모 이익을 냈다. 경남제일저축은행의 순이익이 271억원으로 가장 컸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지방 저축은행들은 부동산 PF 대출을 취급하지 않았기 때문에 금액이 꾸준히 이익을 내고 있다”며 “올해 영업정지된 4개 은행 중 지방은행 한 곳을 뺀 3곳이 PF 대출을 취급했다”고 설명했다.

◇ 자산규모 상위 은행 BIS 비율도 ‘흔들’

대형 저축은행을 위주로 BIS 비율은 여전히 좋지 않다.

올해 3월 현재 자산규모 상위 저축은행 중 솔로몬, 현대스위스, 한국의 BIS 비율이 5%를 넘지 못했다

솔로몬·한국저축은행이 5월 영업정지된 뒤 업계 2, 3위로 올라선 경기·HK의 BIS 비율도 10% 이하에 머무는 등 대형 저축은행들의 안정성은 여전히 불안하다.

3월 현재 BIS 비율이 10%를 넘는 곳은 서울시내 21개 저축은행 중 10곳, 전국 89개 은행 중 46곳이었다.

지난해 3월 저축은행 54곳의 BIS 비율이 10% 이상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상황이 나빠진 것이다.

BIS 비율이 10% 이상인 곳은 우량한 은행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5~10%인 곳은 현재로선 안전하지만 자본확충 등 경영개선 노력이 요구되는 곳이다.

일부 저축은행은 BIS 비율이 감독기준인 5%를 넘기지 못하고 있다.

3월 기준으로 BIS 비율이 5% 미만인 저축은행은 11곳으로 현대스위스 3.54%, 솔로몬 2.74%, 부산솔로몬 1.24%, 진흥 1.22%, 오투 0.59% 등이다.

한국(-1.56%), 토마토2(-11.75%), 우리(-20.46%), 삼일(-3.53%), 유니온(-1.51%), 세종(-1.27%) 등 6곳은 마이너스였다.

HK(9.97%), 늘푸른(7.64%), 경기(7.56%), 서울(7.43%), 더블유(5.68%) 등 25곳의 BIS 비율은 5~10%에 머물렀다.

일부 저축은행은 4~5월 자회사를 매각하거나 유상증자를 통해 BIS 비율을 높이기 위한 노력에 나서기도 했다.

현대스위스저축은행은 4월 중 자회사인 현대스위스3저축은행의 지분 30%(매각금액 240억원)를 타사에 양도하는 계약을 체결, 이를 반영하면 BIS 비율이 4.64%가 된다.

우리저축은행은 “부실 금고를 계약이전 받아 경영 정상화를 추진 중에 있으며 상호저축은행업감독규정에 따른 BIS 비율은 3월 말 현재 1.62%”라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공적자금 지원 없이 자체 정상영업 중인 유니온, 세종, 삼일저축은행은 3월 가결산 이후 대주주 교체, 자체 유상증자 등을 통해 BIS 비율이 조치기준(5%)을 상회하거나 유상증자 절차가 마무리 단계에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연예인들의 목소리
가수 아이유, 소녀시대 유리, 장범준 등 유명 연예인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에 대한 지지 행동이 드러나면서 반응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연예인이 정치적인 이슈에 대해 직접적인 목소리는 내는 것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연예인도 국민이다. 그래서 이는 표현의 자유에 속한다.
대중에게 강력한 영향력을 미치는 연예인은 정치적 중립을 지켜야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