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兆 용산개발지구’ 자금난에 사실상 사업중단

‘31兆 용산개발지구’ 자금난에 사실상 사업중단

입력 2012-09-26 00:00
업데이트 2012-09-26 00: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행사 드림허브, 공사비 미지급

31조원 규모로 단군 이래 최대 규모의 개발사업이라는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이 자본금 확충 실패로 사실상 중단 상태로 내몰렸다.

25일 사업 시행자인 드림허브에 따르면 이달 초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 부지에 대한 토지오염 정화공사가 중단됐다. 이 공사는 공사를 앞두고 철도정비창 부지의 토양오염을 정화하는 작업으로, 삼성물산 컨소시엄이 지난해 10월 시작했다. 삼성물산 컨소시엄은 총 공사비 301억원 중 30억원만 받고 나머지 271억원에 대한 지급이 미뤄지자 지난 3일 공사를 중단했다.

드림허브는 국내외 유명 건축가들에게 의뢰한 기본 설계비용 719억원도 지급하지 못해 소송 위기에 몰렸다. 설계 용역 계약을 맺은 외국 건축회사들은 드림허브에 다음 달까지 용역비를 지급하지 못하면 소송을 제기하겠다는 입장이다.

드림허브는 당초 250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를 발행하고 랜드마크 빌딩 2차 계약금을 받아 6000억원대의 자본금을 확충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코레일과 롯데관광개발의 대립으로 CB 발행이 지연된 탓에 현재 436억원의 자본금만 남아 있다.

드림허브는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을 위해 30개 출자 회사들이 모여 설립한 특수목적법인 형태의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PFV)다. 이 때문에 이번 사태는 최대 주주와 2대 주주의 내부 갈등이 직접적 계기로 작용했다는 점에서 스스로 자초한 ‘인재’(人災)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코레일은 과거 삼성물산이 롯데관광에 내놓은 용산역세권개발㈜ 지분 45.1%를 인수해 직접 경영을 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이 경우 용산역세권개발㈜이 공기업인 코레일의 자회사로 편입돼 각종 규제를 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양측이 적극적인 해결 의지를 보이지 않고 여전히 주도권 쟁탈에 골몰하는 가운데 남은 자본금마저 연말쯤이면 모두 소진될 예정이어서 이대로 가다간 파국이 멀지 않았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동현기자 moses@seoul.co.kr

2012-09-26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