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대 근로자가 30세 미만보다 근소세 더 냈다

60대 근로자가 30세 미만보다 근소세 더 냈다

입력 2012-11-02 00:00
업데이트 2012-11-02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년 퇴직후 재취업 많고 청년층 일자리는 줄어

고령화로 60세 이상이 30세 미만보다 근로소득세를 더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소득세를 내는 60대 이상 회사원이 두 배 이상 늘어난 반면 30세 미만 회사원은 19만명이나 줄어든 때문이다.

1일 국세청에 따르면 2010년 귀속 근로소득세를 낸 60세 이상 근로자는 44만 3000명으로 총 1조 960억원을 냈다. 2007년에는 60세 이상 근로자 19만 7000명이 총 6468억원을 냈다. 3년 사이 사람은 124.9%, 세액은 73.6% 늘었다. 반면 30세 미만 근로자는 2010년에 189만 5000명이 총 7854억원의 근로소득세를 냈다. 60세 이상이 낸 근로소득세의 71.7% 수준이다. 2007년에는 30세 미만 근로자 208만 5000명이 총 9290억원의 세금을 냈다. 60세 이상이 낸 세금보다 43%가량 많았다.

정년 퇴직 이후 다른 회사에 재취업하거나 재입사하는 노년층은 많아진 반면 월급이 많은 청년층의 정규직 일자리는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다시 일하는 노년층이 청년층보다 월급이 많다 보니 2010년 60세 이상 노인은 1인당 연간 297만원의 근로소득세를 낸 반면 30세 미만은 1인당 40만원을 내는 데 그쳤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2012-11-02 1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