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하는 할아버지 10년새 1.7배 증가

일하는 할아버지 10년새 1.7배 증가

입력 2013-02-16 00:00
업데이트 2013-02-16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65세이상 경제활동인구 올해 1월기준 152만명

충북 청원군 내수읍에 사는 이모(65)씨. 이달 1일부터 오송역 근처 한 오피스텔에서 경비원으로 일하고 있다. 하루 12시간 일하고 한 달에 받는 돈은 110만원이 전부다. 최저임금에도 못 미치지만 부부가 생활을 꾸려가는 데 이 돈은 절대적이다. 건설현장에서 40년 동안 일했고 1980년대 5년간 사우디아라비아 등 해외건설현장을 다녀오는 등 ‘화려한 시절’도 보냈지만 별다른 노후준비를 하지 못한 탓이다. 지금 모두 30대가 된 딸 셋과 아들 하나를 대학에 보냈고 결혼시키느라 돈 모을 새도 없었다. 막 취업한 자식들에게 당장 손을 벌릴 수도 없는 노릇이다. 아직 결혼 안 한 외아들을 장가 보내려면 돈이 더 필요하다는 이씨다. 그래도 “가장이니 돈벌이는 내 몫”이라는 것이 이씨의 고집이다.

15일 통계청에 따르면 65세 이상 고령자 중 경제활동에 참여한 인구가 2003년 1월 97만 2000명에서 2013년 1월 152만 2000명으로 56.6% 늘었다. 이 가운데 남자가 55만 3000명에서 91만 4000명으로 1.7배 늘어났다. 이에 따라 경제활동참가율이 36.1%에서 36.6%로 0.5% 포인트 높아졌다. 같은 기간 65세 이상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17.8%에서 17.2%로 낮아진 것과 대조를 이룬다.

신광영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남자들이 경제활동을 해 왔기 때문에 일을 계속하기가 여성보다 쉽다”면서 “남성이 집안을 책임져야 한다는 책임감도 크게 작용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노후보장제도가 잘 마련돼 있지 않아 아파트 경비, 주차장 관리 등 생계형 일자리를 찾는 노인이 많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노인인구 빈곤율은 49.4%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13.5%보다 3배 이상 높다. 지난해 5월 통계청의 ‘고령층 취업의사·동기 조사’에서 노인들은 일자리를 얻고 싶은 가장 큰 이유로 ‘생활비 충당’(54.4%)을 꼽았다. ‘건강유지’(2.1%), ‘무료해서’(4.8%) 등 소일거리로 일하려는 경우는 드물었다.

박진희 한국고용정보원 인력수급전망센터 부연구위원은 “65세 전후면 자녀들이 30~40대라 취업·결혼을 안 한 경우가 많다”면서 “용돈을 받기도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신 교수는 “노인들의 인식도 많이 변해 자식에게 기대거나 의존하는 것을 창피하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늘었다”고 말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결혼 적령기인 30~34세 미혼율은 2000년 19.5%에서 2010년 39.8%로 크게 늘었다. 부모 부양에 대해 부모 스스로 해야 한다는 의견은 2002년 9.6%에서 2010년 19.6%로 늘어났다.

세종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3-02-16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