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온 자살 시도자에게 예방 서비스 제공

응급실 온 자살 시도자에게 예방 서비스 제공

입력 2013-07-03 00:00
업데이트 2013-07-03 10: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신과진료·지역사회서비스 연계사업 시작

자살 시도 후 응급실로 이송된 환자는 다시 자살을 시도해 사망할 가능성이 일반인의 열배가 넘는다. 하지만 국내 의료현장에서는 응급치료만 한 후 그냥 퇴원시키는 경우가 90%를 웃돈다.

보건당국이 세계 최고 수준의 자살률을 낮추기위해 응급실로 실려 온 자살시도자를 치료 후 상담과 지역사회 서비스에 연계하는 사후관리체계 구축에 나선다.

보건복지부는 전국 12개 시도 소재 21개 대형병원을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사업’ 수행기관으로 선정하고 자살 재시도 방지를 위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3일 밝혔다.

이 사업은 응급의료기관을 지역사회 정신건강증진센터 및 사회복귀시설과 연계해 응급실에 온 자살시도자의 정서안정·재활을 지속적으로 돕는 것이다.

응급의료기관은 응급의학과·정신건강의학과 의료진과 사례관리팀의 정신보건전문요원이 공동으로 자살시도자의 신체·정신치료 및 단기(1개월)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어 지역의 정신건강증진센터는 연계받은 환자의 자살 재시도를 막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필요한 경우 지역의 사회복지서비스에 연결해 준다.

복지부는 경남, 경북, 광주, 전남 등 아직 사업기관이 선정되지 않은 지역을 위주로 4개 의료기관을 이달말까지 추가하고, 앞으로 사업성과에 따라 수행기관을 확대할 계획이다.

복지부는 이번 사업으로 올해 하반기에 자살시도자 약 3천명이 재시도 방지사업의 지원을 받을 것으로 기대했다.

우리나라에서 매년 응급실로 이송되는 자살시도자는 약 4만명이며 이 가운데 약 20%인 8천명이 4년 안에 자살을 다시 시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응급실에 실려온 자살시도자 중 8%만 상담치료로 연계되며 92%는 아무 조치 없이 귀가하는 등 자살 예방 인프라가 열악한 실정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