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디스플레이, 중소형 패널 점유율 30% 첫 돌파

삼성디스플레이, 중소형 패널 점유율 30% 첫 돌파

입력 2013-09-12 08:03
업데이트 2013-09-12 08: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5분기 연속 1위…샤프·LGD↓ 재팬디스플레이↑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에 쓰이는 중소형 디스플레이 패널 시장에서 삼성디스플레이의 점유율이 처음 30%를 넘어섰다.

12일 시장조사기관 디스플레이서치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삼성디스플레이의 9인치 이하 중소형 디스플레이 패널 매출액은 30억2천391만달러로 1분기(26억1천61만달러)보다 16% 증가했다.

시장점유율은 25.9%에서 30.7%로 높아지면서 2009년 4분기 일본 샤프를 제치고 중소형 패널 시장 선두로 나선 이후 15분기 연속 1위를 지켰다.

삼성디스플레이가 중소형 패널 매출액 30억달러, 시장점유율 30%를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는 삼성디스플레이가 독점하고 있는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패널을 탑재한 갤럭시S4 등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판매가 꾸준히 호조를 보인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디스플레이가 99% 차지하는 중소형 OLED 패널의 2분기 매출액은 27억6천640만달러로 1분기(23억6천960만달러)보다 17% 늘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특히 해상도가 풀HD(1920×1080)인 프리미엄 패널에서 2분기 출하량 2천250만개로 전체 시장(3천434만개)의 65.5%를 차지하는 등 초강세를 보였다.

이에 반해 애플의 아이폰 판매가 둔화되면서 애플에 LCD 패널을 공급해온 샤프와 LG디스플레이는 시장점유율이 눈에 띄게 낮아졌다.

샤프와 LG디스플레이는 2분기 중소형 패널 매출액이 7억9천545만달러와 7억5천380만달러로 1분기보다 각각 43%씩 감소했다.

이로 인해 샤프는 시장점유율이 1분기 14.0%에서 2분기 8.1%로, LG디스플레이는 13.2%에서 7.7%로 후퇴하면서 순위도 각각 2·3위에서 4·5위로 밀려났다.

대신 재팬디스플레이와 대만 이노룩스가 2분기 시장점유율 12.8%와 8.4%를 기록하며 2·3위로 올라섰다.

2분기 아이폰5용 패널 출하량은 1천340만대로 1분기(2천956만대)보다 55% 줄었다.

이 가운데 샤프는 40만대로 전 분기보다 97%, LG디스플레이는 210만대로 80% 급감했으나, 재팬디스플레이는 1천90만대로 80% 늘어났다.

2분기 중소형 디스플레이 패널 시장 전체 매출액은 98억5천94만달러로 1분기보다 2% 감소했으나 지난해 2분기에 비해선 38% 증가했다.

디스플레이 업계의 한 관계자는 “수요 감소로 어려움을 겪는 대형 패널 시장과 달리 스마트폰과 태블릿PC가 주도하는 중소형 패널 시장은 올해도 고성장이 예상된다”며 “스마트폰 트렌드 변화에 따른 업체별 전략이 실적의 명암을 가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