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부 100명중 34명꼴 제왕절개 분만…이유는

임신부 100명중 34명꼴 제왕절개 분만…이유는

입력 2013-09-15 00:00
업데이트 2013-09-15 10: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두골반불균형·반복 제왕절개 및 자궁근종술 기왕력’ 등이 주된 이유

임신부 100명 중 34명꼴로 제왕절개 분만을 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혜련 연구위원은 13일 ‘모자보건실태’란 연구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김 연구위원은 2012년에 배우자가 있는 전국의 15~44세 부인 951명을 대상으로 분만형태를 살펴봤다.

분석결과, 자연분만이 65.7%, 제왕절개 분만이 34.3%로 나왔다.

부인의 특성별 분만형태를 보면, 나이가 많을수록, 첫째 애를 출산할 때 제왕절개 분만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만 때 임신부와 태아의 위험을 고려한 조치로 보인다.

제왕절개 분만을 한 부인을 상대로 그 이유를 물어보니 ‘아두골반 불균형’ 22.3%, ‘반복 제왕절개 및 자궁근종술 기왕력’ 21.3% 등을 꼽았다.

아두골반 불균형은 임신부의 골반이 태아의 머리에 비해 너무 작아서 태아가 산도를 통과하기 어려운 경우를 말한다.

이어 ‘태아의 심장박동이 비정상인 태아긴박증 등 태아의 건강상태’ 14.35%, ‘태아 둔위 등 위치이상’ 12.2%, ‘출산 예정일 이전에 다른 증상 없이 양수가 파수되는 양수 조기파수’ 9.8%, ‘출산고통 두려움’ 3.7%, ‘고령출산’ 2.4% 등이었다.

태아 둔위는 출산을 앞둔 태아의 머리가 밑으로 향하는 것이 정상인데 임신 말기에 태아가 역위(둔위, 엉덩이가 아래로 있는 자세)로 있는 경우를 말한다. 분만 때 머리가 아닌 엉덩이부터 나오게 돼 위험할 수 있다.

제왕절개 분만은 산모와 태아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다.

산모에게는 감염과 이로 말미암은 사망, 전신 기능 저하, 골반 통증, 장폐색, 불임, 태반유착 등 다양한 부작용을 일으킨다.

신생아에게는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 모유수유 지연, 천식, 당뇨병, 아토피 등을 유발한다는 연구보고도 있다.

이 때문에 정부는 제왕절개 수술을 적정 수준으로 억제하고자 의료기관의 제왕절개 분만율을 공개하고 진료비을 깎는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