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신세계 변종SSM 중단 못믿어”

소상공인 “신세계 변종SSM 중단 못믿어”

입력 2013-11-04 00:00
업데이트 2013-11-0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슈퍼보다 저가에 물건 공급… 소상공인 간 갈등구도 우려

신세계가 변종 기업형 슈퍼마켓(SSM) 의혹을 사고 있는 상품공급점 사업을 중단하겠다고 했지만, 정작 소상공인들의 반응은 싸늘하다. 대기업의 실속 없는 약속보다는 정부의 실질적인 규제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지방의 한 슈퍼마켓협동조합 이사장은 3일 “단순히 간판과 유니폼 등 대형 유통업체의 색깔만 지운다고 상품공급점의 골목상권 잠식이 해결되지 않는다”면서“대기업 간판을 달고 장사하는 것도 문제지만 더 큰 문제는 일반 슈퍼보다 저가에 물건을 공급받는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은 지난 1일 국정감사에서 “소비자가 상품공급점을 이마트로 오해할 수 있는 간판 부착, 유니폼 지원, 경영지도를 대행해 주는 변종 SSM 사업을 일절 진행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3일 변종 기업형슈퍼마켓(SSM) 논란의 중심으로 떠오른 이마트 에브리데이 상품공급점 앞을 한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은 지난 1일 국정감사에서 변종 SSM 의혹을 받는 상품공급점 사업을 중단하겠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지만 소상공인들은 “정부의 실질적 규제가 필요하다”며 싸늘하게 반응하고 있다. 연합뉴스
3일 변종 기업형슈퍼마켓(SSM) 논란의 중심으로 떠오른 이마트 에브리데이 상품공급점 앞을 한 시민이 지나가고 있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은 지난 1일 국정감사에서 변종 SSM 의혹을 받는 상품공급점 사업을 중단하겠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지만 소상공인들은 “정부의 실질적 규제가 필요하다”며 싸늘하게 반응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기업이 상품공급점에 계속 물건을 낮은 가격에 공급하는 이상 일반 슈퍼는 가격경쟁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말이다. 물건을 공동 구매해 회원 슈퍼에 공급하는 지역 슈퍼마켓협동조합과 중소 도매상 역시 SSM이 두렵기는 마찬가지다. 신세계가 중소 유통업체와 상생협력하겠다는 약속을 깬 ‘전력’이 있는 것도 소상공인들이 정부의 규제를 요구하고 있는 이유다. 신세계는 지난 2010년 5월 중소 슈퍼마켓의 가격 경쟁력 향상을 위해 이마트가 슈퍼마켓조합이나 체인본부를 통해 상품을 공급하는 업무협약을 중소기업청 등과 체결했으나 이를 파기하고 상품공급점 사업을 시작했다. 다만, 상품공급점 문제가 일반 SSM처럼 소상공인·대기업 간 대립구도가 아니라 상품공급점과 일반 슈퍼가 경쟁하는 소상공인 간 갈등구도가 될 수 있어 고민이다.

중기청 관계자는 “상품공급점도 소상공인이라 대책 마련이 어렵다”면서 “상품공급점을 직접 규제하면 대기업이 아닌 가맹점인 소상공인을 규제하는 꼴이 된다”고 밝혔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3-11-04 1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