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철강사 파산으로 포스코 수혜”

“중국 철강사 파산으로 포스코 수혜”

입력 2014-04-03 00:00
업데이트 2014-04-03 01: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S&P “역내 철강사들에 긍정적”

중국 철강사의 파산으로 포스코가 수혜를 볼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그러나 올해 2분기 안에 재무구조 개선, 철강 가격 인하 압박이라는 과제가 남아 있어 실적 개선까지는 상당한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보인다.


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제적인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는 지난 1일 보고서를 내고 중국 민간 철강사들이 시장에서 도태되는 것이 역내 주요 철강사들에 긍정적인 요인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중국 민간 철강사 중 최대 제철 기업인 하이신 철강은 최근 30억 위안(약 5300억원) 규모의 은행 대출 상환에 실패해 디폴트(채무불이행)를 선언했고 파산 직면에 놓이게 됐다. 하이신 철강은 민간으로는 최대 제철기업이나 철강 생산량으로 보면 중국 내 30위 밖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하이신 철강의 채무불이행이 의미하는 것은 중국 내 철강산업 재편으로 제품 포트폴리오가 우수한 역내 주요 철강사가 수혜를 본다는 얘기다. S&P는 중국 내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민간 철강사들이 밀려나면서 중국 정부가 소유한 국유 대형 철강사들의 시장점유율과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실질적인 개선으로 이어지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이에 따라 S&P는 앞으로 2년 동안 역내 주요 철강사인 한국의 포스코와 일본의 신일철주금이 그 혜택을 볼 것으로 예상했다.

포스코가 대외적으로는 긍정적 전망을 얻고 있지만 내부적으로는 권오준 회장 체제를 수립하며 재무구조 개선과 가격 인하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포스코의 당기순이익과 영업이익, 매출액은 해마다 감소하는 추세다. 지난해 포스코의 당기순이익은 1조 3552억원으로 2011년(3조 7143억원)에 비해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권 회장은 지난 1일 회사 창립기념일을 맞아 서울 동작구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을 방문해 “동부제철 인천공장 인수와 포스코의 재무구조 개선은 거리가 멀다”면서 인수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시장에서는 인수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인 것이 포스코 수익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해 1일 포스코의 주가는 4500원 오른 30만 500원으로 거래를 마치기도 했다.

김현태 KB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 포스코는 글로벌 신용평가사들로부터 부채 비율을 낮추는 등 재무구조를 개선하라는 압박과 함께 관련 업계에서 제품 가격을 인하하라는 압박을 동시에 받고 있다”면서 “이 모든 것을 이번 2분기 내에 해결할 수밖에 없어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고 밝혔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4-04-03 1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