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과잉 산업단지, 수급관리 방안 마련키로

공급과잉 산업단지, 수급관리 방안 마련키로

입력 2014-07-27 00:00
업데이트 2014-07-27 1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토부, 산단 공급 규모·시기 등 조정권한 확보 방안 검토

정부가 미분양이 생겨나는 등 공급과잉 양상을 보이는 산업단지의 수요-공급을 관리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국토교통부는 27일 산단의 수급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산업입지 수급계획 수립 지침’을 보완하기 위해 국토연구원에 관련 연구용역을 맡길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가 2008년 산단 지정 절차를 간소화한 뒤 급격하게 늘어난 산단의 공급을 적정 수준으로 관리하기 위한 조치다.

산단 지정 면적은 2007년 15.8㎢였지만 2008년에는 48.7㎢로 크게 치솟았다. 2011년에는 12.6㎢로 떨어지면서 이후 연간 12∼13㎢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미분양 산단 면적(누계)은 2009년 5.9㎢에서 지난해 20.1㎢로 해마다 늘고 있는 추세다.

이에 따라 마련될 산단 수급관리 방안에는 현재 지방자치단체장이 자율적으로 결정하는 산단의 공급 규모와 시기 등을 정부가 일부 조절하는 내용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산단의 공급 시기를 조정하거나 신규 지정 기준을 강화해 공급을 통제하고, 시도별 산단 면적을 제한하거나 미분양 비율에 따라 공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사업이 장기 지연되고 있는 산단에 대한 처방도 마련한다. 산단 지정을 해제하거나 면적 축소·유치업종 변경 같은 조치를 취하는 등 구조조정을 할 수 있는 기준과 방법, 구조조정 후 관리 방안 등을 마련할 예정이다.

미래 산업구조의 변화에 대한 전망, 업종별 산업 발전 추이 분석, 산업입지의 수요·공급 실태 조사 등도 함께 벌여 산단의 미래 수요도 따져볼 방침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나 지방자치단체 등 그동안 산단을 공급해온 공공부문의 재정 여건이 악화된 점을 고려해 민간을 산단 개발에 끌어들이기 위한 유인책도 마련하기로 했다.

민간의 사업 리스크를 덜어주기 위해 보증기관이 사업성을 평가한 뒤 보증을 서주는 제도를 도입하거나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적격대출을 도입하는 방안 등이 검토된다.

또 연기금이나 국민주택기금 등 공적기금을 산단 개발사업에 일부 활용하는 방안, 공적 펀드를 조성하는 방안 등도 검토해보기로 했다.

국토부는 또 2003년 산정된 뒤 바뀌지 않은 ‘산업입지 원단위’도 이번에 새로 산정하기로 했다.

산업입지 원단위란 기본적으로 산단의 부지 면적 대비 생산액을 뜻하는데 부가가치·고용 규모 등의 다른 경제적 효과나 전기·용수·도로 등 기반시설의 수요를 따질 때도 기초자료가 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산정된 지 10년이 넘으면서 새로운 산업이 생겨나기도 하고 업종별 산단 수요도 변화하는 등 여건이 변함에 따라 산업입지 원단위를 새로 산정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