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사 잔류…용산공원 면적 24만㎡가량 줄어들 듯

연합사 잔류…용산공원 면적 24만㎡가량 줄어들 듯

입력 2014-10-24 00:00
업데이트 2014-10-24 11: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토부 “큰 변화는 없어…연합사 부지 사업시기만 조정”

한미 양국이 전시작전통제권의 전환 시기를 연기하기로 합의하면서 서울 용산 미군기지에 있는 한미연합사령부 본부 등을 존치하기로 함에 따라 용산공원 조성 계획에도 영향이 있을 전망이다.

이번에 한미는 연합사 건물(화이트하우스), 미8군사령부 건물, 작전센터, 지휘통제소(CC서울), 연병장 등을 남기기로 했다.

다만 연합사 지원부대나 가족 등은 경기 평택으로 옮기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단 용산공원 조성을 담당하는 국토교통부는 큰 영향은 없을 것이란 입장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연합사 건물은 당초 ‘용산공원 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상으로도 보존 대상시설로 돼 있었다”며 “따라서 연합사 본부가 이전하든 잔류하든 그에 따른 큰 변화는 없다”고 말했다.

2011년 작성된 용산공원 조성 기본계획에 따르면 용산 미군기지 내 80여 동의 건물을 존치시키는 것으로 돼 있는데 연합사 본부도 이들 존치시설에 포함돼 있다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또 “연합사 본부는 필수 적정 규모만 잔류할 것으로 보여 전체 공원 조성계획에 미치는 영향은 경미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현재 2027년 완공하는 것으로 돼 있는 용산공원 조성 일정을 그대로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다.

다만 연합사가 속한 부지는 당초 2단계(2022∼2024년) 사업으로 잡혀 있었는데 이를 3단계(2025∼2027년)로 옮겨 사업 시기를 조정하겠다고 밝혔다.

국토부 관계자는 “연합사 잔류란 여건 변화를 감안해 사업 시기만 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에 잔류하기로 결정된 연합사와 미8군사령부 등은 메인포스트의 중앙에서 약간 남동쪽 방향에 한데 모여 있다. 그러나 정확한 규모와 위치, 시설 현황 등은 미군이 이를 대외비로 분류해 놓고 있어 우리 정부는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이번에 잔류시키기로 하는 연합사 등의 면적은 용산공원 조성지구(242만6천㎡)의 10%를 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이 경우 24만여㎡가 공원 조성 면적에서 제외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별도로 한미는 이미 미 대사관과 대사관 직원 숙소 7만9천㎡, 헬기장 5만7천㎡, 드래곤힐호텔 8만4천㎡, 출입·방호시설 등을 잔류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이는 용산공원 조성지구 면적 242만6천㎡에서 제외돼 있는 것이다.

연합사 건물 등이 당초부터 보존시설이었다 해도 미군이 이를 사용하기로 한다면 철수할 때에 비해 이용에 제한이 생기는 것은 불가피해 보인다.

당초대로 이전한다면 연합사 건물을 다른 용도로 이용할 수도 있지만 그러지 못하게 됐다. 군사시설이란 속성상 보안 등의 사유로 공원 이용에 일정 부분 제약이 생길 수밖에 없다.

연합사 본부 주변으로 출입이나 통행, 접근이 제한돼 그만큼 공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면적이 줄고, 사진 촬영 등도 금지될 것이기 때문이다. 또 공원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동선도 끊기게 될 수밖에 없다.

국토부는 내년 말까지 작성하기로 돼 있는 용산공원 조성 기본설계, 조성계획에 이번 연합사 잔류 등의 상황을 반영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