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 중대사고 발생때 제조업체 보고 의무화한다

제품 중대사고 발생때 제조업체 보고 의무화한다

입력 2014-10-31 00:00
업데이트 2014-10-31 07: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산업부 “결함 관계없이 보고받아 소비자피해 확산방지 조치”

중대한 제품 사고가 발생하면 제조업체가 무조건 소관 부처·기관에 보고하도록 의무화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1일 제품 사고로 소비자 피해가 확산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이런 내용을 담은 제품안전기본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이 개정안이 연내 국회를 통과하면 정부 공표 절차와 6개월간의 유예기간을 거쳐 내년 하반기에 시행된다.

개정안에 따르면 사업자는 제품의 결함 여부에 관계없이 사망이나 전치 4주 이상의 부상 사고, 화재·폭발, 반복적 사고 등이 일어난 제품은 반드시 보고해야 한다. 이를 어기면 3천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물게 된다.

지금은 중대한 제품 결함으로 소비자의 생명·신체에 피해를 주거나 줄 우려가 있다고 제조업체가 판단했을 때만 제품 수거(리콜) 전에 보고하게 돼 있다. 결함이 없다고 판단하거나 원인이 밝혀지지 않으면 보고 대상이 아니다.

산업부 관계자는 “큰 사고가 발생한 제품은 제조업체 자체 판단으로 결함이 없다고 해도 사고 내용과 판매 수량 등을 보고하도록 의무화해 사고 원인을 신속히 밝히고 소비자 피해를 줄이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정부 부처나 기관이 제조·설계 상의 결함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다른 요인이 있을 때도 제품 안전성 조사를 할 수 있게 된다. 안전성 조사를 토대로 제품의 위해성 여부를 평가해 공표할 수 있는 제도가 도입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